•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州縣 資福寺와 香徒의 역할 (The Role of Jaboksa and Hyangdo on Ju Hyeon in Gorye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5.12
43P 미리보기
고려시대 州縣 資福寺와 香徒의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9호 / 117 ~ 159페이지
    · 저자명 : 한기문

    초록

    주현 자복사는 입장과 목적이 국가, 교단, 지역민과 공유될 수 있는 장이라는 관점에서 그 운영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고려 주현 자복사는 읍내 치소 가까이 존재한 사원을 칭하는 보통명사이다. 이 사원제도의 연원은 신라 시기 지방 도시의 사례도 있지만 현종대 지방민을 결속하여 병난을 극복하려는 배경과 향촌사회의 새로운 주도 세력의 등장과도 연관되어 성립되었다. 자복사는 행정단위마다 분포되었으나 계수관과 주현에는 다수가, 속현 이하는 一邑一寺였다.
    국가 공인의 비보사사에 속한 자복사는 외관, 호장층, 자복사 조직과 함께 국가불교의례를 함으로써 지역민을 결속하고, 지역내 승려들의 교구중심 연대와, 국가에 대한 지지를 수렴하는 역할을 하였다. 자복사의 삼강 조직과 동량승은 호장층과 지역민, 또는 향도, 지역 사원과 승려의 시납을 유치하여 각종 시설과 의례를 유지하는 불사를 하였다.
    중국 당·송대에 운영된 지방 官寺제도인 州당 一觀一寺制와 일본의 國당 僧尼二寺制와 궤를 같이하는 지방 관사제로서 고려 주현 자복사는 모든 행정단위에 분포되어 있다는 점에서 국가의 지배와 지역사회 결속을 불교를 통하여 심화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고려 중기 이후 향촌 사회 변화에 따라 쇠퇴하고, 조선 초 사원전의 屬公조처로 하여 사원을 대폭 정리하면서 소멸되었다.

    영어초록

    I study Jaboksa’s management and trait with the terms of its standpoint and goal corresponding to the nation, the Buddhist order and the arean people.
    Jaboksa is the general name of the temple near to the townhall. It was in Shila. It fixed on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new power elite in the village and King Hyeonjong’s war-victory idea through the unity of the people. It was everywhere in the administrative unit. There were many in Gaesugwan(界首官), Juhyeon(主縣). It was only one at the belonged Hyeon(屬縣).
    Jaboksa as the public official cemented the villagians with Woigwan(外官), Hojang strata(戶長層) and its organization by the national Buddhist rituals. It led and converged the monks’ parish-centered association and their sponsoring the dynasty. The temple’s Samgang organization(三剛組織) and beggar monks played Buddhist event to keep the gifts of Hojang strata, villagians, Hyangdo, provincial temples, priests, and its facilities and rituals.
    It is compared to one temple and a Dogwan(一觀一寺制) per Ju(州) in Dang and Song. It is correspondant of one masculine monk temple and female(僧尼二寺制) per state(國) in Japan. So it was spread in ever governmental unit in Goryeo. It strengthened the dynasty reign and the community cohesion in the via of Buddhism. After the middle of Goryeo the change of village weakened the temple. In the earlier Chosun Jaboksa disappeared by the national callback of its farmland and its manup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