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ssessing and Predicting Apparel Impulse Buy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1.02
8P 미리보기
Assessing and Predicting Apparel Impulse Buying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과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Global Fashion Marketing / 2권 / 1호 / 28 ~ 35페이지
    · 저자명 : Eun Joo Park, Judith C. Forney

    초록

    Apparel offers consumers a high hedonic value associatedwith experiential pleasure. Being fashion driven with a focuson newness and change, apparel products can create an illusionof something fantastic. In turn, this subjects apparel to varioushedonic behaviors such as impulse buying. The more consumersbrowse apparel stores to get an idea about the latest trendsin the market, rather than relying on a shopping list, the greaterthe possibility of impulse shopping. Moreover, consumersare likely to be more divergent on what they want than whatthey need. This suggests apparel as a product category as astimulus effecting impulse purchases.
    Impulse buying is considered a pervasive phenomenon inmodern lifestyles and it accounts for a substantial percentageof products sold across a broad range of categories. One explanationmay be that consumers buy products for a variety ofnon-economic reasons or hedonic tendency, such as fun, fantasyand social or emotional gratification. By stimulating consumersto recognize product needs, in-store browsing plays animportant role in influencing impulse buying behavior. Also,impulse buying is activated by the emotions aroused in theproximity of an appealing object. This emotional response mayoccur largely without regard to financial or other consequences.
    Based on the extant literature, we developed a conceptualframework to analyze how predictors (hedonic tendency,in-store browsing, and shopping emotion) affect apparel impulsebuying. Five hypotheses were tested during an apparelshopping episode to determine if: hedonic tendency is positivelyrelated to shopping emotion (H1); hedonic tendency ispositively related to in-store browsing (H2); in-store browsingis positively related to shopping emotion (H3); in-store browsingis positively related to impulse buying typologies (H4);and shopping emo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impulse buyingtypologies (H5).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review. Data were obtained from 290 college studentsenrolled at a southwestern state university in the U.S.
    Following verification the measurement items, path analysiswas conducted using LISREL 8.53. A path model shows thatsix path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This empirical study of assessing and predicting apparel impulsebuying extends the understanding of predictors for andprovides an extended structural model of apparel impulsebuying. This study reveals three typologies underlying apparelimpulse buying: Fashion-oriented impulse buying, Memory-orientedimpulse buying, and Browsing-oriented impulse buying.
    Findings indicate a consumer’s hedonic tendency is a significantpredictor of shopping emotion and in-store browsingand it is pertinent to apparel impulse buying. This suggeststhat hedonic tendency can drive consumers to act on apparelimpulse buying when they experience a positive feeling andare in-store browsing. This result implies that positive shoppingemotion tends to reduce decision complexity, including impulsebuying. Therefore, typologies of apparel impulse buying can bepredicted in a path model by an attitudinal component (e.g.,hedonic tendency and in-store browsing) and emotional factors(e.g., satisfied and excited). In particular, shopping emotionserves as an important mediating predictor of impulse buyingof apparel products. This suggests that impulse buying of collegestudents is more conjunct with an emotional unplannedpurchase of apparel products. Also, this finding supports impulsebuying as satisfying a hedonic need or providing emotionalgratificat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to retailers and researchers inunderstand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 characteristicsand impulse buying of apparel produ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Global Fashion Marketing”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