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제의식의 관점에서 본 불교의 깨달음과 그 의미변화 (Enlightenment and the Change of its Meaning in Buddhism from the Viewpoint of Problem Solvin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9.04
24P 미리보기
문제의식의 관점에서 본 불교의 깨달음과 그 의미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96권 / 2호 / 291 ~ 314페이지
    · 저자명 : 윤희조

    초록

    본 고의 논지는 셋이다. 첫째 깨달음은 문제의식과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볼 수 있고, 구체적인 맥락적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붓다의 깨달음이라는 구체적인 맥락 하에서 괴로움의 해결이라는 문제의식과 그 해결 과정을 깨달음으로 볼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붓다의 깨달음은 사성제의 삼전십이행상에 대한 안지혜명광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깨달음의 의미는 변화한다. 붓다의 깨달음을 통해서 새로운 요소, 즉 연기가 추가됨으로 인해서 문제의식이 변화하게 된다. 깨달음의 내용 자체에 대한 추구가 문제의식으로 등장함으로 인해서 대승불교의 깨달음은 사성제와 연기성에 대한 안지혜명광으로 폭이 확대됨을 볼 수 있다. 이는 연기성으로 인해서 나의 괴로움과 타인의 괴로움이 연결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되고, 문제의식은 자신의 괴로움의 해결에서 전체의 괴로움의 해결로 변화하게 된다. 문제의식이 변화함에 따라서 깨달음의 의미도 변화하게 된다.
    셋째 깨달음의 의미가 변화함에 따라서 불교의 목적론에 해당하는 연기, 무아, 공, 불이, 청정, 자성, 무자성 등의 의미가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초기불교에서 괴로움의 근원을 찾는 연결고리로서 연기가 대승불교에서는 제법의 연결성을 의미하게 된다. 괴로움을 자기 뜻대로 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초기불교의 무아는 대승불교에서는 사물의 비실체성을 의미하게 된다. 괴로움을 점차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공은 사물의 연결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연결성은 불이라는 측면에서 강조되고, 초기불교의 청정과 번뇌의 대립은 대승불교에서 이러한 대립을 떠난 상태로 나아간다. 부파불교의 법의 자성, 대승불교의 법의 무자성성, 선불교의 자성은 각기 법의 특징을 표현한다. 불교의 목적론의 변화는 가장 중요한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는 빤냐 또는 반야의 의미변화를 가져온다. 괴로움의 원인을 꿰뚫어 아는 것에서 제법의 공성, 무아성, 연기성, 불이성, 무자성성, 자성성을 통째로 아는 것으로 변화하게 된다.

    영어초록

    The argument is three.
    First, enlightenment can be seen from the viewpoint of problem and problem solving, and concrete enlightenment should be viewed from a contextual perspective. Under the concrete context of the Buddha's enlightenment, we can see the process of solving suffering and its resolution. Through this,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can be seen as knowledge and insight into The Four Noble Truths under their three aspects(tiparivaṭṭa) and twelve modes(dvādasākāra).
    Second, the meaning of enlightenment changes.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Buddha, a new element, namely, the theory of dependent connectedness, changes the contents of the problem. As the pursuit of the content of Enlightenment itself emerges as a goal, it can be seen that Enlightenment in Mahayana Buddhism is broadened to knowledge and insight into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theory of dependent connectedness. Because of the theory of dependent connectedness, my suffering is connected to the suffering of others. The problem changes from the solution of the individual's suffering to the resolution of the whole suffering. As the problem changes, the meaning of enlightenment also changes.
    Third, as the meaning of enlightenment changes, it can be seen that the meanings of the theory of dependent connectedness, selflessness, emptiness, non-duality, purification, the self-nature, and the non self-nature that correspond to the teleology of Buddhism change. In Early Buddhism, as a link to finding the source of suffering, the theory of dependent connectedness means the connectivity of the everything in Mahayana Buddhism. In Early Buddhism selflessness, which shows that suffering can not be done according to self-will, means the non-reality of everything in Mahayana Buddhism. In Early Buddhism emptiness, which shows the process of gradual elimination of suffering, is changed to mean the connectivity of everything in Mahayana Buddhism. This connectedness is emphasized in terms of non-duality, 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purification and defilement in Early Buddhism changes into the state which goes away from this confrontation in Mahayana Buddhism. The meaning of self-nature in Sectarian Buddhism, Mahayana Buddhism, and Zen Buddhism characterize its own. The change of Buddhist teleology brings about the change of meaning of paññā or banya which is the most important methodology. It changes from knowing penetrating the cause of suffering to knowing wholly dependent connectedness, selflessness, emptiness, non-duality, purification, the self-nature, and the non self-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