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이러니 개념으로 바라 본 이창동의 <밀양>과 카프카의 「변신」 (Secret Sunshine von Lee Chang-dong und Die Verwandlung von Franz Kafka im Zusammenhang mit dem Ironiebegriff)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4.12
20P 미리보기
아이러니 개념으로 바라 본 이창동의 &lt;밀양&gt;과 카프카의 「변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카프카학회
    · 수록지 정보 : 카프카 연구 / 32호 / 79 ~ 98페이지
    · 저자명 : 정현규

    초록

    이창동의 <밀양>을 읽어내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일단 이 영화가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를 원작으로 하고 있으니, 이 둘의 관계에서 시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기실 이러한 해석방식을 취하고 있는 다양한 논문들이 존재한다. 가령 송태현은 「소설 「벌레 이야기」에서 영화 <밀양>으로」라는 논문에서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가 과연 어떤 세계관을 담고 있는지, 이청준의 소설을 이창동 감독은 영화 속에서 어떻게 변형시켰는지, 그리고 그 변형이 이창동의 어떤 세계관과 관련되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김창윤은 「소설 「벌레 이야기」와 영화 <밀양> 상관관계」에서, “들뢰즈와 가타리의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을 토대로 소설 「벌레 이야기」와 영화 <밀양>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이들 논문의 아이디어는 소설이 영화로 전이되면서 어떤 점이 변형되거나 탈락되고 확대해석되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다른 또 하나의 방법은, 이청준의 소설에 영감을 부여한 듯 보이는 카프카의 「변신」을 참조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사실 추측에 그치고 말 소지가 다분히 있는 접근법이다. 왜냐하면 두 작품을 연결하는 듯이 보이는 것은 「변신」에서 주인공이 벌레로 변했다는 사실과, 이청준 소설의 제목에 ‘벌레’가 들어가 있다는 사실 뿐이기 때문이다. 이 방식이 좀더 설득력을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이청준과 카프카의 관계를 면밀히 밝혀줄 수 있거나, 이창동과 카프카의 관계 혹은 적어도 두 작가의 작품이 지닌 세계상의 일치에 대한 천착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놓고 보면 이창동과 이청준과 카프카가 일련의 연장선상에 놓이게 되는데, 이렇게 관계를 엮어가는 것은 <밀양>을 해독해 내는데 과연 생산적인 방식이 될 수 있을까? 만약 그렇다면 그 구체적인 방식은 무엇이며 그것은 얼마나 생산적일까? 그 한 가지 방식은 이들의 관계를 아이러니라는 미학적 수단에 의해 천착해 보는 것이다. 일찍이 김윤식은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를 들어 “살인자가 오히려 성스러운 너울을 쓰고 피해자를 용서하는 아이러니를 이해할 수 없는 세계”라고 쓰고 있다. 이러한 아이러니는 「벌레 이야기」뿐만 아니라 그것을 영화화한 <밀양>에도 해당되는 이야기인 동시에, 영화 전체를 관류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 드러난다. 그리고 카프카의 작품에서도 우리는 어렵지 않게 아이러니한 양상을 만나게 된다. 따라서 세 가지 작품을 이어주는 실마리로 아이러니란 미학적 개념을 잡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처럼 보인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아이러니’란 개념으로 작품을 바라보았을 때 이들 작품들, 특히 이창동의 <밀양>과 카프카의 「변신」이 어떻게 상호접근하거나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지 조명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Es gibt mehrere Möglichkeiten, Lee Chang-dongs Film Secret Sunshine zu interpretieren. Die häufigste stellt einen Zusammenhang zwischen Secret Sunshine und Beole-Iyagi (Die Wurmgeschichte) von Yi Chong-Jun her, weil die Novelle dem Film als Vorlage gedient hat. Eine andere Möglichkeit besteht darin, das Verhältnis zwischen Secret Sunshine und Kafkas Verwandlung klar zu machen, und zwar mit Hilfe des Ironiebegriffs im Sinne Rortys. Bei Richard Rorty unterscheidet sich Ironie von Metaphysik, die nach dem ‘letzten Wort’ sucht. Die Ironikerin hingegen versucht, die sie bezwingende Regel zu redeskribieren. Die ‘Redeskription’ bedeutet eine Art neuen Lesens eines solchen Buchs, das behauptet, dass es überhaupt ein solches Buch gibt, dessen Wort nicht zu ersetzen ist, z. B. die Bibel.
    Die Frage ist, ob es sich um eine solche Redeskription in beiden Werken handelt und dabei das Wurmmotiv in Secret Sunshine auch eine so große Rolle spielt wie das Ungeziefermotiv in der Verwandlung. Bei Kafka und Lee Chang-dong geht es gerade um die Redeskription der Bibel. Bei Kafka um die des Sündenfalls, bei Lee Chang-dong um die der fast allerersten Worte der Bibel: “Es werde Licht”. Würmer bzw. Insekten spielen dabei auch eine große Rolle in beiden Werken. Bei Kafka ist die unverständliche Stimme des in ein Ungeziefer verwandelten Gregor Samsa die Sprache, die nicht mehr zeichenhaft ist und bis zur sprachlichen Grenze läuft und schließlich die Fluchtlinie im Deleuzeschen Sinne bildet. Das Geschrei, in das die Hauptdarstellerin in Secret Sunshine angesichts des Regenwurms verfällt, und die Sprache ihrer Schizophrenie sind ein Zeichen dafür, dass sie nicht mehr in der Welt lebt, wo die biblische und metaphysiche Weltsicht dominiert, sondern in der Welt, wo die Ironie eine Möglichkeit bietet, die Welt immer wieder neu zu interpretie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