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謄錄』을 통해 본 왕비의 親迎과 권위 (Chinyoung of Queen Consort and her Authority Viewed through Deungrok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2.06
39P 미리보기
조선시대 『謄錄』을 통해 본 왕비의 親迎과 권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25호 / 105 ~ 143페이지
    · 저자명 : 임민혁

    초록

    이 글은 조선 건국 이래 당시 지배층들이 예치사회를 구현하고자 노력하는 가운데, 국왕 嘉禮에서 家禮대로의 실천의 핵심인 친영과 그 이후의 의례를 시행하게 된 과정과 배경 및 구체적인 절차를 『謄錄』을 중심으로 家禮와 비교하면서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 외형적으로 국왕과 동등한 지위를 획득한 왕비의 권위를 宗統에 의해 정당화함으로써 왕권과 왕실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고심했던 측면들을 밝혀보고자 했다.
    조선정부에서는 선초부터 유교 이념에 배치되는 혼속(男歸女家婚)을 고치고자 꾸준한 노력을 전개하여, 중종 12년에 드디어 친영의주를 마련함과 동시에 태평관에서 친영례를 거행하였다. 친영례의 수용은 古禮의 회복으로 반유교적인 혼인형태를 바로잡고 예의 사회질서를 확립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단행되었다. 그리고 가례의 원리를 실천함으로써, 敎化의 책임을 다하는 국왕의 권위를 높이고 왕권과 왕실을 안정되게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컸다.
    館所에서의 친영은 선조35년에도 태평관을 이용하다가 인조 16년부터 어의동본궁을 별궁으로 사용했다. 국왕의 친영은 지정된 관소를 전용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親迎儀에서는 가례와 달리 왕비가 참석한 상태에서 전안례를 거행하였는데, 왕비에 대해 국왕은 賓主의 예를 행하고 주인은 군신의 예를 행하였다. 그리고 국왕은 이미 고아여서 醮戒禮를 행하지 않았으며, 왕비에게도 역시 초례는 행하지 않았으나 계례는 행하여 왕실의 며느리로서 효경을 다할 것을 당부했다.
    입궐한 국왕과 왕비는 同牢宴을 거행했다. 교배례는 행하지 않고 국왕이 왕비에게 역시 읍례로 대하고, 합근례를 통해 尊卑가 같아지는 상징적인 절차를 행하여 새로운 부부 관계의 형성을 표현했다. 직후 소위 첫날밤은 이불과 베개가 놓인 御幄에 들어가기까지의 의주만이 제정되어, 존엄한 국왕의 성은 금기시하다시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 뒤에 왕비는 朝見禮와 廟見禮를 거행했다. 친영을 正禮로 삼은 것은 가례의 실천을 가리키며, 그 완성은 이 의례를 거행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각각 중종 12년과 숙종 29년에 처음 행해진 이 의례는 조상들로부터 며느리로서의 지위를 공인받는 成婦禮였다. 조종의 예의에 부합하는 혼사를 거행했음을 고하고 효충을 다할 것을 다짐하는 자리이며, 이로써 왕실의 며느리로서의 종통을 계승하였음을 대내외에 포고하는 공식적인 행사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background, and detailed procedures in implementing Chinyoung(king's personal welcoming his queen), which was the core of practice in line with the customary formalities of a family, and its subsequent rite with focus on Deungrok while comparing to the customary proprieties of a family.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is study intended to make clear the elements of authority possessed by a queen consort who externally attained a position equal to the king.
    The marriage custom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Namkwiyeo gahon(a bridegroom goes to his bride' house to have a matrimonial ceremony) was done in the manner in which Yang(bridegroom) followed Ŭm(bride), so this manner ran counter to the idea of Confucianism. The Joseon Administration developed its steady effort to correct this matrimonial custom, finally preparing detailed rite procedures and at the same time holding the personal welcoming formalities(Chinyoungrye)at Taepyeongkwan. The acceptance of "Chinyoungrye" is interpreted as the recovery of Gorye(old manners) and it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setting anti-Confucian form of marriage right and establishing the propriety-based social order.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king and royal family's display of practising "Chingyoungrye" might serve to perform their responsibility for edifying the people while greatly contributing to the stability and retention of royal authority and royal family.
    "Chinyoung" at a temporary lodging for traveling officials had been held at Taepyongkwan even during the 35th ruling year of king Sukjong, and with "Eouidongbongung" designated as a detached palace during the 16th ruling year of king Injo, this palace was mostly used for "Chingyoung." The king welcomed his queen with the manners of a master of guests, and the guest(queen) fully observed the propriety as a subject. The king didn't use to carry out "Chogyerye" as he was already an orphan, nor did carry out it for his queen; however, the king asked his queen to completely do her filial duties by performing "Gyerye"(a rite of a woman's doing her hair up in a chignon as a symbol of a wife of the king).
    The king and queen performed "Dongryaeyeon"(a banquet in which the king and queen exchanged cups after doing the manners of bowing down to each other on the floor); however, instead of doing the manners of bowing down to each other, the king welcomed his queen with the manners of a master of guests by doing the manners of making a deep bow with two hands together, and there came up the symbolism in which the king and queen became equal in the distinction of rank through the manners of exchanging cups with each other. As for their first wedding night right after such matrimonial procedures were done, the dignified and majestic king's having sex was almost a taboo with the establishment of only the detailed rite procedures for entering the king's bed where blanket and pillows were laid.
    Afterwards, the queen performed the manners of a morning audience with the queen mother and with Royal Ancestral Shrine. Making "Chinyoung" as an orthodox propriety indicates the practice of "Garye"(an auspicious ceremony), and its completion was done by performing this rite. This rite, which was first during the 12th ruling year of king Jungjong, and the 29th ruling year of king Sukjong respectively, was the manners in the capacity of one's wife, in which the status as a daughter-in-law was certified by ancestors. However, the procedures symbolizing the established generation of the queen wasn't carried out.
    It's because the queen was already vested with the authority as a homemaker of the eldest son of a head family simultaneously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que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