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랑세기』를 통해본 신라 화랑도의 가야파 (Gaya group in Hwarangdo of Silla, revealed on Hwarangsegi(『花郞世紀』))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7.12
43P 미리보기
『화랑세기』를 통해본 신라 화랑도의 가야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27호 / 485 ~ 527페이지
    · 저자명 : 이종욱

    초록

    『화랑세기』는 신라인이 아니면 쓸 수 없는 책이며 동시에 쓸 필요도 없는 책이다. 그 『화랑세기』에는 신라인이 쓴 신라버전의 이야기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렇기에 『화랑세기』는 지금까지 중시할 수밖에 없던 고려버전의 『三國史記』나 『三國遺事』를 넘어, 신라인의 신라 이야기로서 신라의 역사를 살려낼 수 있게 만든다. 이 글에서 필자는 『화랑세기』를 통하여 신라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밝혀내는 방법을 통해, 『화랑세기』가 위서일 수 없다는 사실을 논증하려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화랑세기』를 통해 화랑도의 파맥 중 가야파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을 하였다. 『화랑세기』에 따르면, 15세 풍월주 유신공은 眞骨・大元・加耶 3파의 자손이라고 하였다. 김유신은 그의 어머니 만명부인의 姻統을 이어받아 진골정통으로 태어났고, 그의 아버지 서현이 대원신통이었다. 거기에 더하여 김유신은 수로왕의 부계혈통을 이은 후손으로서 서현-김유신(15세 풍월주)으로 이어지는 가야정통이었다.
    가야정통은 수로왕을 시조로 하는 구충왕과 그의 일족들이 신라에 항복하여 신라인이 된 후 형성하였던 파맥이다. 구충왕(구해, 구형)과 무력이 신라에 항복할 때 그들에게는 진골의 피가 많이 들어 있었으며, 그 결과 구충왕과 그를 시조로 하는 宗族(lineage)의 자손들은 신라의 골품신분 중 진골로 편입될 수 있었다. 그런 면에서 『화랑세기』 15세 풍월주 유신공 조의 세계는,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김유신이 신라 사회 안에서 차지하는 사회적・정치적 지위를 분명히 밝힌 자료라 하겠다.
    그와 달리 비정통 가야파는 신라인 아버지와 가야(특히 대가야, 북국) 왕의 딸들 즉 공주들이 신라로 시집와서 낳은 아들들이 화랑도에 들어가 가야파를 이룬 경우이다. 외가계통이 가야였던 천주공과 문노가 그 대표적인 예다. 그러나 이후 시대에 가야파라는 파는 기본적으로 부계계승을 통해 이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신라의 사회체제가 부계제 사회였기 때문이다.
    신라인들이 남국(금관국)인을 중심으로 한 가야인들과 북국 여자와 혼인하여 낳은 문노나 천주공 그리고 그들의 후손을 가야파로 인정한 것은 신라인들의 피정복민 정책의 한 단면과 그 융통성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이후 김유신은 진골정통・대원신통・가야파로 나뉜 파맥에 대해 3파의 자손으로서 골품과 파맥을 뛰어넘어 화랑도를 거느리면서 各徒를 화합시키려 노력하였고, 신라 오리진이라는 역사적 유산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영어초록

    Hwarangsegi(『花郞世紀』) is a book which could not be written by Silla people, and does not have to be written if a writer was not Silla people. In Hwarangsegi, there are Silla-version narratives which are written by Silla people. Therefore, Hwarangsegi makes us reenact narratives of Silla written by Silla people beyond the Goryeo-version narratives of Samguksagi(『三國史記』) or Samgukyusa(『三國遺事』), which has been held in great regard up to now. I tried to reveal the history of Silla by Hwarangsegi, and demonstrate Hwarangsegi cannot be a forged book.
    For these purposes, I tried to reveal the meaning of Gaya group(加耶派), a group in Hwarangdo, in this paper. Following Hwarangsegi, 15thth Pungweolju (風月主) Yu-sin is a descendant of three groups, Chin’gol(眞骨)・Taewŏn(大元)・Gaya(加耶). Kim Yu-sin is a descendant of Chin’golchŏnt'ong(眞骨正統) which is succeeded following a maternal line of mother Lady Manmyeong(萬明夫人), and his father Seo-hyeon(舒玄) belonged to Taewŏnsint’ong(大元神統). Furtheemore, Kim Yu-sin was a descendant of King Suro(首露王) which is succeeded following a paternal line. He belonged to authentic Gaya group, which was succeeded from Seo-hyeon to Kim Yu-sin(15th Pungweolju).
    when King Guchung(Guhae, Guhyeong) and Muryeok surrendered to Silla, they were tied intimately by Jingol(眞骨) group of Silla, so King Guchung and his descendants in his lineage(宗族) could be included in Jingol group of Silla. In that view, the lineage of Yu-sin in Hwarangsegi shows clearly his social and political status, although it was written directly in that book.
    On the other hand, non-authentic Gaya group was originated from sons between Silla people fathers and princesses of Gaya(especially Dae-gaya, ‘North state’) moved into Silla. The sons participated in Hwarangdo and created Gaya group. Cheonju-gong(天柱公) and Munno(文弩) are representative examples, whose lineage were connected with Gaya. Nevertheless, a qualification of Gaya group was succeeded following the paternal line. It was because Silla was a patriarchy society.
    There were two factions of Gaya group. One was organized by Gaya people from ‘Namguk’(Geumgwan-guk). The other was sons who were born between Silla men and Gaya(especially ‘Bukguk’) women like Munno and Cheonju-gong, and their descendants. The fact that Silla acknowledged both two factions as Gaya group can be viewed as a part of policies to conquered people and its flexibility. After then, Kim Yu-sin struggled to harmonize three groups and leaded Hwarangdo as a descendant of three groups. By this effort, Kim Yu-sin contributed to creating a historical legacy called ‘Silla orig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