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문법강화>를 통해 본 가람 이병기의 문법 연구 (“Joseon Munbeop Ganghwa”: Garam Lee Byung-gi’s Grammar Research)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5.03
31P 미리보기
&lt;조선문법강화&gt;를 통해 본 가람 이병기의 문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101권 / 105 ~ 135페이지
    · 저자명 : 이래호

    초록

    가람 이병기의 <조선문법강화>는 조선어 문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려는 시도로, 국어 문법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그의 문법 연구관, 문법 체계, 그리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가람은 조선어 문법이 모방이 되어서는 안 되며, 조선어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음운과 문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문장을 분석하기 전에 소리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자음과 모음 체계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가람은 주시경의 연구를 계승하면서도 일부 개념을 발전시켰다. 특히 모음 체계에서는 ‘거듭홀소리’를 구분하여 기존 체계를 세분화하였다. 품사 체계에서 가람은 단어를 ‘말의 단위’로 정의하고, 의미적 단위이자 분석 가능한 최소의 단위로 보는 체계적 접근을 취하였다. 또한, 그는 명사, 형용사, 동사, 조사, 접속사, 부사, 감동사로 구성된 7품사 체계를 제안하였다. 여기서 형용사에 관사를 포함시키고, 조사와 어미를 조사에 통합하는 방식을 취했는데, 이는 주시경의 체계를 비판적으로 수용한 결과이다. 또한, 그는 품사를 체언, 용언, 부사, 조사로 대별하고, 부사 범주에 접속사와 감동사를 포함시켜 문법 체계를 단순화하였다.
    그러나 그의 문법 체계는 미완성 상태로 전체적인 체계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조선문법강화>는 조선어 문법의 체계를 정립하려 시도가 보이는, 국어 문법 연구의 중요한 자산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As an attempt to systematically organize Korean grammar, Garam Lee Byung-gi’s “Joseon Munbeop Ganghwa” holds significant importance in Korean grammar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Garam Lee Byung-gi’s perspectives on grammar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grammar. Garam argued that Korean grammar should not merely imitate foreign grammar but should also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ccordingly,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honology and scripts, asserting that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sounds should precede sentence analysis.
    For his organization of consonant and vowel systems, Garam inherited and further developed Joo Si-gyeong’s scholarship. In particular, he refined the vowel system by distinguishing gyeobholsori (compound vowels), creating a subcategory of the existing system. In terms of parts-of-speech classification, Garam defined words as “units of speech” and adopted a systematic approach that viewed them as semantic and minimally analyzable units. He identified seven parts of speech: nouns, adjectives, verbs, particles, conjunctions, adverbs, and interjections. He included determiners within the category of adjectives and integrated particles, ending under the category of particles, a result of critically adopting Joo Si-gyeong’s framework. Additionally, he categorized parts of speech into substantives (che-eon), predicates (yong-eon), adverbs (busa), and particles (josa), while classifying conjunctions and interjections as adverbs to simplify the grammatical system.
    However, his grammatical system remained incomplete, which limited an understanding of its full structure. Nevertheless, “Joseon Munbeop Ganghwa”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Korean grammar research, as it attempts to establish an independent grammatical framework for the Korean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