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포츠중계방송에서 발견되는 공공성 보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tection of the Public Nature in Sports Broadcast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8.06
34P 미리보기
스포츠중계방송에서 발견되는 공공성 보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 / 12권 / 1호 / 221 ~ 254페이지
    · 저자명 : 김건희

    초록

    2011년, SBS(방송사)가 스포츠중계방송권을 획득함에 있어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과의 충돌을 내용으로 하는 분쟁이 있었다. 이 판결은 재산권인 스포츠중계방송권을 제한하고 있는 방송법상의 규정인 보편적 시청권 관련 내용의 국내 최초 판결이자 유일한 판결이다. SBS가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중계방송권을 매수함에 있어 KBS와 MBC에 중계방송권을 공정하고 합리적인 시장가격으로 차별 없이 제공할 의무를 위반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그 판매를 거부하거나 지연시켰으므로, 방송법 및 시행령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과 과징금부과 처분을 받은 것에 대해 취소를 구한 사건이다. 법원은 SBS의 행위가 방송법 시행령 제60조의3 제1항 제3호를 위반하였다고 판단했다. 나아가 방송법 시행령 제60조의3 위헌 여부와 관련하여, 방송사가 가지는 헌법상 영업의 자유, 계약의 자유, 재산권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으며, 방송의 공공재적 성격 인정 및 보편적 시청권 보장이라는 공익에 비해 방송사가 가지는 재산권이 앞설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이 판결이 스포츠중계방송의 공공성을 연구하는 데에 있어 의미를 가지는 이유는 보편적 시청권 보장은 방송의 공공성을 근거로 한 시청자의 알 권리 및 정보접근권의 실질적인 충족을 통하여 실현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스포츠중계방송이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의 제한을 받고 있는 근거는 스포츠와 방송이 가지고 있는 공공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스포츠와 방송의 공공성의 발현으로 방송법상의 보편적 시청권 규정이 만들어지게 되었고,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은 보편적 서비스에 근거한 보편적 접근권 개념에서 발전하였다. 스포츠는 개인적인 성취, 행복추구의 측면에서 나아가, 국민적 동질성의 고취, 민족적 우월성의 확인 등 공동체적 통합 역할을 수행하면서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았다. 특히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이 규정하고 있는 스포츠이벤트의 목록은 국가를 대표하여 출전하는 선수들의 경기인데, 이는 국민들을 하나의 집단정체성으로 묶는 기능을 한다. 그런 점에서 스포츠이벤트는 그 공적 기능과 함께 공공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방송은 전파의 공공소유권, 희소성으로 인해 공공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방송이 지향하고 있는 궁극적인 가치는 공공성과 공익성의 추구라고 볼 때, 시청자들의 이익과 권리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방송을 통한 스포츠는 시청자에게 도달함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의 접근권 관점에서 스포츠중계방송을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재산권인 스포츠중계방송권의 거래와 스포츠중계방송을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으로 규제하고 있는 것은 기본적으로 헌법 제37조 제2항의 기본권제한가능성 규정 아래,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의 보호를 받는 시청자의 접근과 저작권법의 목적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이용자의 접근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것에서 그 타당성을 찾을 수 있다. 즉, 공공재 성격을 가지고 있는 스포츠중계방송으로의 접근은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이 보장하고자 하는 시청자의 권리와 저작권법의 목적이 보호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이용 도모 관점에서 그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2011, a legal conflict occurred where Seoul Broadcasting System(SBS) acquiring a right to broadcast World Cup games was slashed for violating “universal audiovisual right” under Broadcasting Act. The court decision in this case was the first and only one of its kind regarding the provision of universal right of the Act that serves to limit broadcasting rights which are part of right to property under the Constitution. The court found the SBS in violation of its obligation to distribute broadcasting rights of the 2010 South Africa World Cup Games at a fair and reasonable market price by refusing or delaying without a legitimate reason sales of those rights to Korean Broadcasting System(KBS) and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MBC). SBS was imposed corrective orders and penalty surcharge by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to which it objected seeking for cancellation of the disposition. The Court decided that the SBS violated Article 60-3 Paragraph 1 Subparagraph 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Broadcasting Act. In addition, to the argument for unconstitutionality of the same provision, the Court said that the right to business, contract, and property enjoyed by broadcasting companies under the Constitution could be limited under the Article 37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and that the right to property could not take precedence over the public nature of broadcasting and public value of universal audiovisual right of the public.
    The ground for limiting universal audiovisual right can be found in the public nature of sports and broadcasting. Sport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 type of culture that not only highlights personal accomplishment and pursuit of happiness, but also inspires national unity and pride. Sports events listed in the provision of Broadcasting Act regarding universal audiovisual right represent international events participated by Korean athletes. Watching Team Korea play games itself unifies the country under a shared identity, which adds a public nature to the function of sports. Meanwhile, broadcasting is also seen as public goods because air waves are rare and remain in the public domain. If we consider the two ultimate values of broadcasting are promoting publicness and public interests, the benefits and rights of viewers must be given a serious consideration. Sports that are aired can only be made worthwhile when they successfully reach the receiving end. Therefore, sports relay broadcasting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cess right of viewers and audience. The public nature of sports and broadcasting led to the provision of universal audiovisual right under Broadcasting Act, which developed from universal right to access based on universal service.
    In conclusion, the regulation on transaction of sports broadcasting rights and broadcasting of sports events by means of universal audiovisual right under Broadcasting Act can be justified, under a big framework of Article 37 Paragraph 2(Admissibility to limit basic rights) of the Constitution, by both access rights of viewers protected by the universal rights under the Act, and the value of user access deemed important by an objective of Copyright Act. In other words, access to a sports broadcasting right whose nature is of public go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the rights of viewers ensured by universal audiovisual right under Broadcasting Act, and facilitation of the use of the users intended by Copyright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