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장의 생사관을 통해 본 한국민요 고찰 (A Studying on Korea's folk song as seen in the Lao-Zhuang’s view of life and death)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06
23P 미리보기
노장의 생사관을 통해 본 한국민요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78호 / 357 ~ 379페이지
    · 저자명 : 하영택, 이영철

    초록

    본고는 노장의 생사관을 고찰하여 민요에 수용되어 있는 한국인의 생사관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 민요의 주제 중 생사는 사실상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노장의 생사관 역시 많은 곳에서 주요 테마로 곧장 활용되는데, 그 빈도와 역할에서 유가의 생사관을 훨씬 넘어선다. 왜냐하면 삶과 죽음에 대한 비애와 공포를 문학적으로 극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대자연 속에 귀의하여 생사를 초월하고자 하는 노장의 정통적인 생사관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의 민요를 ‘불사지향형(不死志向形)’과 ‘생사탈속형(生死脫俗形)’이란 두 개의 패러다임을 기준으로 다양한 실례를 들어 고찰하였다. 노장의 생사관은 노자의 ‘사이불망(死而不亡)’과 장자의 ‘사생일체(死生一體)’로 집약할 수 있다. 이것은 ‘사이불후(死而不朽)’를 추구하는 유가의 입장과는 차이를 나타낸다. 즉, 유가는 기멸론(氣滅論)과 이불멸론(理不滅論)을 주장하는데 반해 노장은 기불멸론만 주장하는 차이는 있으나 노장과 유가의 생사관이 육체의 죽음을 인정하면서도 정신적인 영원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서로 상통하는 점이 있다. 만약 죽은 뒤 다시 태어남을 강조하는 불교와 기독교의 생사관을 ‘사후신생(死後新生)’이라 한다면, 유가와 노장의 생사관은 모두 ‘사이불망’ 또는 ‘사이불후’형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노자가 말하는 ‘섭생을 잘하는 자’와 장자가 추구했던 ‘지인(至人)’의 ‘생사를 초월하는 형상’은 정신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신화적 비유였지만, 도교에서는 이를 육체적인 측면으로 생각하여 여러 가지로 죽지 않는 법들을 탐구했다. 다시 말해서 노자의 생사관은 ‘불사지향형’으로 변형되는데 반하여, 노장의 생사관을 준수하는 ‘생사탈속형’ 유형은 산수자연을 도의 구현체로 보고 그곳으로 귀의하여 노니는 것으로 전개된다. 후자를 노장의 정통적인 생사관으로 부른다면, 전자를 노장의 생사관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노장의 입장에서 한국민요에 나타난 생사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supposed to show the consciousness of death in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related with the Taoist’s view of life and death.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can be found life and consciousness of dead mostly. There have been seen many masterpieces for their maintenance Confucians work. Thus, life and death combine with furious love and emotional threat literary. Accordingly, between no regret to die and be free from life and death have been released as both axes of paradigm.
    For instance, the primary considerations look into the Taoist’s view of life and death. This has been understood generally as saying between Lao-tzu(death or everlasting) and Zhuang-zi(all in one system of life and death). Slightly different from the Confucian scholar(death or eternal eternity). But also both of them are agree with spiritual eternity simultaneously. What about Buddhism and Christianity? They have in common the eternal cycle of new born apparently. Confucianism and Taoism could say their death or everlasting theory included all in one system of life and death theory as well.
    Lao-tzu insists the rule of health and Zhuang-zi images the acme of happiness and comfort in psychological effects to a colloquial myth but the Taoist seems treat as physical operations for various studying.
    Even though, Lao-tzu’s view of life and death is toward to ‘No regret to die’ which is a traditional manner. Zhuang-zi’s view of life and death is performed in ‘Be free from life and death’ for driving nature amusements indeed (only the Taoist’s view of life and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