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혁적 측면에서 본 점유강취죄의 해석론 (The Interpretation of the Crime of Forcible Taking Examined in Terms of the Historical Aspec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12
30P 미리보기
연혁적 측면에서 본 점유강취죄의 해석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찰법연구 / 13권 / 2호 / 167 ~ 196페이지
    · 저자명 : 이진수

    초록

    1. 일본이 1880년에 근대적 형법을 처음으로 만들었을 때는, 점유강취죄에 대한 조항이 없었다. 단지 제371조에서 질권의 목적물로 제공한 자기의 소유물을 절취한 때 절도로 논한다는 규정을 두고 있었을 뿐이다. 이에 대해 일본에서는 질권 이외의 경우까지 그 보호의 대상을 확대할 것과, 절도죄와 같은 성질의 범죄인 강도죄에도 적용하자는 입법론이 제기되었다. 그러한 요구의 결과 성립된 1907년 일본형법 제242조는, 타인의 점유에 속하는 자기의 물건에 대해 타인의 재물로 의제하는 규정을 두어 이를 해결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 결과 「타인의 점유」에 대한 해석론을 두고 본권설과 소지설의 대립이 있게 되었다.


    2. 이후 개정형법가안은 이러한 학설의 대립 상황을 입법적으로 극복하려 하였다. 그리고 그 수단이 된 것이 독일형법 및 그 초안이 규정하는 권리행사방해죄를 도입한 것이었다. 가안의 입안자가 권리행사방해죄와 동시에 점유강취죄를 신설한 것은, 점유강취죄는 종래 일본의 형법학에서 논의되었던 “강도죄에 대한 준용 여부”를 명확히 해결하기 위한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추측된다. 다시 말해서 점유강취죄는 권리행사방해죄의 일종인 것이다.


    3. 따라서 점유강취죄의 규정은 본권설의 태도와 맞닿아 있는 것이므로, 「타인의 점유」에 불법한 점유까지 포함된다고 해석할 수는 없다. 또한 권리행사방해죄와의 관련성에 비추어 볼 때, 본조는 타인이 적법한 권원에 기하여 점유를 하고 있는 경우는 물론, 적법한 권원에 의하여 점유를 개시한 이후 해제나 해지, 취소 등의 사정변경으로 권원이 소멸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그 문언상 저당권이나 양도담보에 기한 경우와 같이, 점유를 수반하지 아니하는 권리에 기반한 경우는 본조의 적용범위에서 배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Forced taking is a crime concerning a “person’s own property in another’s possession.” Elucidating the meaning of “being in another’s possession” here is the key task for interpreting this crime. The present study sought to solve this problem especially by reviewing the historical aspect of legislation.
    The Penal Code of Japan (older penal code; 1880) only had regulations on larceny. Regarding these provisions, there emerged in Japan a suggestion for legislation to expand the scope of their application. Established as a result of such demands, Article 242 of the Penal Code of Japan (newer penal code; 1907) included a regulation establishing a“person’s own property [in] another’s possession” as the “property of another person.” As a result, however, there arose conflicting academic theories on the interpretation of “being in another’s possession.” Announced in 1940, the revision draft of the Japanese penal code adopted the attitudes of both the German penal code and its revision draft and introduced crime of obstructing another person’s exercise of his or her rights. In addition, the crime of forced taking must be seen as a type of the crime of obstructing another person’s exercise of his or her rights.
    As a result, “being in another’s possession” in the crime of forced taking must be seen as a concept corresponding to that of “being possessed by another person or… subject to another’s right” in the crime of obstructing another person’s exercise of his or her rights. Consequently, when possession has been initiated legally, even the subsequent expiration of the source of authority likewise is included in “being in another’s possession.” However, illegal possession cannot be seen as included in “being in another’s possession.” In addition, a right holder who has not possessed the property in question from the beginning is not an object of protection from this cr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