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봉의 누정시를 통해 본 선비 정신 연구 (A Study on the Spirit of the True Human in Be Arbor Poetry of Hakbong)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9.03
21P 미리보기
학봉의 누정시를 통해 본 선비 정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97호 / 7 ~ 27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화

    초록

    학봉의 선비정신은 올곧은 학자이자 참 선비로 살았던 스승 퇴계의 가르침을 계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학봉은 자신과 의기투합하며 지내는 벗에 대한 돈독한 마음을 시화하게 되는데, 이럴 때 그의 시에 등장하는 벗들은 도우(道友)로 지내며 교감을 나누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학봉시에는 이러한 도우들과 항상 같이 학문을 강론하며 뜻깊은 시간을 갖기를 희구하는 마음이 담겨 있다.
    「밤에 호호정에 올라 한공칙과 이별하며 쓴 시 두 수(夜登浩浩亭 別韓公則 二首)」에서는 이별을 목전에 둔 학봉이 자신의 흥감(興感)을 남강(南崗)에게 선사하고 있는데, 도우를 아끼는 학봉의 진정성이 담겨 있다. 도우와 이별하는 심정이 매우 깊다는 것을 ‘천층(千層)’이라는 시어로 수치화하여 표현함으로써 이별의 정감을 극대화하고 있다는 점이 이시의 특징이기도 하다.
    학봉은 고요히 수양할 뜻을 품고서 맑고도 빼어난 산수 속에서 정거(靜居)하는 선비로 살아가기를 바랐으니, 그의 청고(淸高)한 성품을 헤아릴 수 있다. 「호은정의 참나무(壺隱亭櫟樹)」시에 투영된 학봉의 시정신은 탐욕이 없이 드높은 선비의 기상에서 우러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선비의 기상에는 청고(淸高)의 마음이 무르녹아 있다. 또한 「압구정(狎鷗亭)」시는 ‘허명(虛名)’을 내세우는 것이야말로 참 선비들이 행할 일이 아니라는 것을 일깨우고 있다.
    학봉은 용사(龍蛇)의 난이 발발하자 자신의 안위(安危)는 아랑곳하지 않은 채 나랏일을 걱정하며 전장(戰場)에 나아가 온 마음을 다 바쳐 구국(救國)에 힘쓰다가 운명(殞命)하였다. 그의 누정시에는 국태민안을 위해 노심초사하는 충신(忠臣)의 진정성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그의 마음이 바로 충의(忠義)인 것이다. 특히 용천검의 이야기를 전고로 하여 ‘칼을 찬 선비’의 충의(忠義)를 형상화한 작품이 「길주 동헌에 있는 시에 차운한 시(次吉州東軒韻)」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llustrate the spirit of the true human in the arbor poetry of Hakbong(학봉). He was a prominent disciple of Toegye(퇴계) and took the lead in succeeding the education and practice of the teacher. The education at that time recognized the cultivation of virtue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as equal weight.
    He thought that it was important not to teach theoretical disciplines but to educate the right people. There is a friend in his poem, not a simple friend. He respects his friends personally and reflects his life.
    He and his friends hoped to be a right and peaceful world. Their hope is contained in his poetry. He and his friends had the same purpose of life, and the way of life was the same.
    He expressed his clear and noble mind in poetry. His poem soon reflected his life. Therefore, his clear poetry expressed his clean life and character. And in his mind was loyalty to the country.
    It is from this that the loyalty to the country appears well in his poetry. His patriotism, which loves the country, expressed the suffering of ordinary soldiers in poetry. In his poem, he expressed the loyalty and the righteousness of the noble person who is wearing the swo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