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구사를 통해 본 조선 민속학의 성과 (The Achievements in North Korean Folklore Studies through the research histor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0.05
39P 미리보기
연구사를 통해 본 조선 민속학의 성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71권 / 119 ~ 157페이지
    · 저자명 : 김종군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남북 분단 이후부터 현재까지 조선(북한)의 민속학 성과를 주목할 만한연구사를 통해 개관하여 그 위상을 밝히고, 통일의 과정에서 코리아 민속학사 구축에 일조하 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접할 수 있는 조선의 민속학 관련 연구논저와 잡지, 민속 조사 자료들과 탈북민들의 구술자료를 대상으로 삼아 시대별로 이루어진 조사 사업과 출판 사업에 주목하여 그 경향성을 살피고자 한다.
    조선 민속학 연구는 국가의 정책에 철저하게 복무하면서 성과들을 양산하였다. 이에 획기 적인 국가 정책의 변화에 따라 세 시기로 구분하여 연구 성과를 고찰한다.
    첫째, 사회주의사상을 통한 민속학 정립기(1945~1970)로, 전통적인 방식으로 살아온 주민들의 생활방식을 사회주의 방식으로 개조해야 한다는 국가적 사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 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실의 민속 실체를 파악하는 일이 최우선해야 한다는 방향을 정하고 민속의 현지조사를 전국 단위로 진행한다.
    둘째, 주체사상에 의한 민속학 침체기(1970~1985)로, 역사 원리로서 주체사상을 유일사상으로 내세우면서 민속전통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다. 그 결과 주목할 만한 출판이 나 민속조사 사업을 찾을 수 없다.
    셋째, 조선민족제일주의를 통한 민속학 부흥기(1986~최근)로, 민족성 고수를 통한 주체 성 확립을 위해 민속전통에 큰 관심을 갖게 된다. 국가 지원을 받아 민속학 총서가 대규모로 발간되고, 민속학 전문잡지인 H민족문화유산H이 창간되었으며, 현실 생활에서 민속전통의 부활을 강조한다.
    조선의 민속학은 비록 연구 목적에서 한국과 차이가 있지만 그 연구 성과는 통일의 과정 에서 민족 통합에 가장 적합하게 기여할 수 있는 영역임을 확인하게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aims to clarify its status after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study of folklore in North Korea since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o the present day and contribute to the compil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folklore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research papers and magazines related to folklore of North Korea, folk survey data and oral data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study of folklore in North Korea produced achievements while serving in the national policy thoroughly. Therefo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epochal national polic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considered by three periods.
    First, in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folklore through socialist ideology (1945~1970), the study was carried out while accepting actively the national mission of transforming the way of life of the inhabitants of the traditional way into socialist ways. After setting the direction that grasping the reality of folklore is the first priority, field research on folklore is conducted nationwide.
    Secondly, in the period of folklore stagnation (1970~1985) by Juche idea, it takes negative position on folk tradition while proposing Juche idea as the only thought as a historical principle. As a result, no remarkable publications or folklore projects are found.
    Third, in the period of revival of folklore through the thought that Koreans are the best(1986~recently), it becomes very interested in folk tradition to establish self-reliance through adherence to ethnicity. With the support of the state, a large-scale publication of folklore was published,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a magazine specializing in folklore, was published, the revival of folklore in real life is emphasized.
    Although the folklore of North Korea differs from South Korea in the purpose of research, 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e area that it can contribute most appropriately to national integration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