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숙명여고보 맹휴사건으로 본 식민지 여성교육 (Colonial Women Education Seen by the Student Strike of Sookmyung Women’s School)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0.12
41P 미리보기
숙명여고보 맹휴사건으로 본 식민지 여성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7호 / 265 ~ 305페이지
    · 저자명 : 강혜경

    초록

    본 연구에서는 1927년에 일어난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의 맹휴사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당시 식민지여성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반발과 그 한계를 짚어보았다. 갑오개혁이후 전개되던 여성교육은 1920년대가 되면서 입시경쟁을 치를 정도로 취학률이 급증하는 등 양적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교육은 식민지라는 근본적 한계 때문에 일본화 교육과 현모양처에 기반을 둔 교육으로 근대적 여성정체성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었다.
    일제 식민지치하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숙명여고보를 위시한 대부분의 학교들에서는 일본인화 교육이 실시되고 있었다. 특히 여학교의 경우 통감부시절부터 학생들의 국가와 사회의식을 배제를 위해 가사와 재봉을 중심으로 하는 실기위주의 교육에 치중하였다. 특히 숙명여고보의 경우 황실의 후원으로 설립되고 운영되었기 때문에 설립초기부터 식민지배의도가 깊이 개입되어 더 가중된 간섭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1927년 5월부터 9월까지 전개되었던 숙명여고보 맹휴의 표면적인 원인은 일본인 교사를 배척하는 것이었으나, 근본적인 문제는 학교의 일본화에 대한 반발 때문이었다. 숙명여고보는 한국 황실의 내탕금으로 설립되었는데, 이로 인해 오히려 통감부와 조선총독부의 과중한 감독을 받게 되어 교육내용도 일본화가 강도 깊게 행해지고 있었고, 1927년에 이르러서는 학교가 일본인들의 전유물처럼 여겨질 정도가 되어 교사 22명중에서 15명이 일본인일 정도였다. 이처럼 숙명여고보의 맹휴는 학교의 일본인화와 일본식의 식민지교육에 대한 반발이 가장 큰 요인이 되었다.
    숙명여고보의 맹휴가 가지는 특징은 학생의 요구조건에 대해 학부형회, 엄비가 설립에 간여했던 숙명·진명·양명 세 학교의 졸업생 단체였던 양명회, 숙명여고보 졸업생단체인 숙녀회 등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조선학생과학연구회·신간회·근우회·중앙여자청년동맹 등의 단체가 지속적인 관심과 압력을 넣어 결국은 학교당국이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하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많은 사회적 관심 속에서 1927년의 맹휴는 학생들의 요구가 대부분 관철되었지만, 식민지라는 근본적 한계 속에서 여성교육의 본질적 내용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지속될 수밖에 없었다. 여전히 식민지 현실이 강요하는 가부장적인 현모양처 교육 아래서 여학생들은 자기갈등을 겪어야만 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resistance of students and its bound are researched for women education in colony through the analysis for Sookmyung women school student strike broken out in 1927.
    The women education proceeding since the Gab-o revolution was largely grown up in big increase rate of entering school as competing for entering school in the 1920th years. However, the education idea was not close to modernized woman’s identity because the women education was based on Japanese education and good wife and wise mother.
    Although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Japanese colony, most of schools including Sookmyung women school had been educating to be Japanese. Especially, since the Japanese ruling time, women schools had been focused on practices like home making and sewing not to cover national and social awareness for students.
    In particular, Sookmyung women school was more intervened since established by the policy of colonial rule because it was established and administrated by Korean royal house.
    The superficial reason of Sookmyung women school’s strike broken from May to September in 1927 was to exclude Japanese teachers, however, the fundamental reason was resistant to Japanese of the school. Sookmyung women school was established by Korean royal house’s fund, accordingly, the colonial government supervised the school in overweight and education were centering on Japanese, and finally in 1927, 15 of 22 teachers were Japanese as becoming that the school did look belonging to Japanese’s. Thus, the united strike of Sookmyung women school was the main reason of resistance against Japanese of the school and Japanese colonial education.
    The characteristic which the united strike of Sookmyung women school had, was that: for students’ request, students’ parents association, Yangmyung association organized by alumni from Sookmyung/Jinmyung/Yangmyung which Empress Um supported establishment, Sook-Yoeu association of Sookmyung women school alumni group, as well as socially, Chosun student scienece research association, Singan association, Geun-U association, Central women youth alliance, etc, many associations kept interesting and pressing, finally, the school authority was made to accepting students’ request.
    In many social interesting, the united strike of 1927 year made to accepting mostly for students’ request, however the basic idea of women education could not be changing but keeping in the drastic bound of colony. Hence, female students were on self struggling under the paternal culture to be obedient women the colony government kept forc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