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圖經>을 통해 본 群山島와 群山亭 (Gunsando Island and Gunsanjeong Pavilion, As Seen in Goryeodogyeo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11
22P 미리보기
&lt;高麗圖經&gt;을 통해 본 群山島와 群山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8권 / 2호 / 73 ~ 94페이지
    · 저자명 : 문경호

    초록

    <高麗圖經>에 따르면 군산정은 서긍 일행이 처음으로 고려 땅에 상륙하여 사신으로서의 정식대우를 받은 곳이다. 이 글에서는 고려도경에 기록된 군산도 인근의 바닷길과 군산도에 자리잡고 있었다는 군산정, 오룡묘, 자복사, 숭산행궁, 관아 등의 위치를 비정하고, 군산정에서 행해진 영접과정과 군산정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서긍 일행이 무녀도와 선유도 사이 뱃골이 있는 지역으로 입항한 후 고려에서 준비한 작은 배를 타고 군산정으로 이동하여 영접의식을 받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군산도를 떠난 사신 일행이 거쳤던 횡서라는 섬은 방축도로 추정하였다.
    군산도의 주요 시설인 군산정의 위치에 대해서는 망주봉 아래 남쪽의 유물 산포지로 비정하였으며, 관아 시설 역시 군산정과 함께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오룡묘와 자복사는 군산정의 동쪽 산기슭에, 숭산행궁은 오룡묘 건너편의 독립된 작은 산 기슭의 유물 산포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들의 위치가 고려도경에 기록된 것과 달리 군산정의 서쪽이 아니라 동쪽에 자리잡은 이유에 대해서는 서긍이 방향을 잘못 파악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는 서긍이 군산정 북쪽에 있었던 횡서(방축도)를 남쪽에 있다고 기록한 것을 들었다.
    군산정의 구조와 관련해서는 고려도경에 나타난 환영과정을 토대로 뜰 위에 계단이 있고, 계단이 끝나는 높은 곳에 사방이 트인 형태의 군산정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주제어] 군산도, 군산정, 오룡묘, 자복사, 숭산행궁, 횡서

    영어초록

    Gunsanjeong (Gunsanjeong Pavilion) was the first destination in Korea of the Chinese delegation led by Xu Jing. Officials of the Goryeo Kingdom greeted the delegation in a formal reception for foreign envoys at the pavilion. This article intends to identify, based on Goryeodogyeong (Illustrated Travelogue on Goryeo Kingdom), the sea route leading to Gunsando Island, as well as the locations of Gunsanjeong, Oryong Cemetery (五龍廟), Jaboksa Temple(資福寺), Sungsan Temporary Palace (崧山行宮), and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that time, all of which are known to have been on Gunsando Island. It also aims to shed light on the reception ceremony held at Gunsanjeong and the structure of the pavilion.


    The delegates led by Xu Jing are presumed to have reached Gunsando Island’s port through a sea route between Munyeodo and Seonyudo islands. After reaching the port, they would have moved to Gunsanjeong on a small ship prepared by the Goryeo people before being welcomed in the reception ceremony. The island named Hoengseo, which the Chinese envoys stopped at after leaving Gunsando Island, is presumed to be the Bangchukdo Island of today.
    This article assumes that Gunsanjeong, one of the key facilities on Gunsando Island, was located at the southern foot of Mangjubong Peak where relics have been scattered, and that the local government office was next to the pavilion. Oryong Cemetery and Jaboksa Temple are presumed to have been at the foot of a mountain to the east of the pavilion, and the Sungsan Temporary Palace at a relic site at the foot of a small mountain across from Oryong Cemetery. The fact that these facilities were incorrectly described in Goryeodogyeong as being in the east of Gunsanjeong, instead of west of the pavilion, is attributed to Xu Jing’s mistake about the actual locations of the facilities. As a proof of that error, this article cites Xu Jing’s description of Hoengseo (Bangchukdo island) as located to the south of Gunsando Island, contrary to its actual location to the north of the island.


    Judging by the descriptions of the reception ceremony in Goryeodogyeong, Gunsanjeong is presumed to have been on a mounted platform reached by a staircase in the middle of an open field.


    Key Words:Goryeodogyeong (Illustrated Travelogue on Goryeo Kingdom), Gunsando Island, Gunsanjeong Pavillion, Oryong Cemetery, Jaboksa Temple, Sungsan Temporary Palace, Hoengseo (Bangchukdo Is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