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촌가(甫村歌)>의 창작 배경과 의미 (The Creative Backgrounds and Meanings of Bochonga(甫村歌))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7.06
30P 미리보기
&lt;보촌가(甫村歌)&gt;의 창작 배경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58권 / 58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허영진

    초록

    이 글은 <보촌가(甫村歌)>의 서지와 내용을 분석하여 작품의 창작 배경과 의미를 밝힌 것이다. <보촌가(甫村歌)>는 총 26면, 419행, 839구 내외로 이루어진 장편가사로서 향촌 사회, 특히 가족 내 구성원으로 하여금 ‘오륜(五倫)’의 실천을 역설하고 있다.
    이 작품은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古西面) 보촌리 지역을 창작 배경으로 삼고 있는데, 그동안 연구가 부진하여 문헌 해제는 물론이거니와 창작 의도와 작가 그리고 창작 연대가 전혀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보촌가>의 창작 배경과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조선 후기 가사 문화의 이해에 이바지할 수 있는 몇 가지 새로운 사실을 파악하였다.
    우선, 작품의 창작 배경과 관련하여 <보촌가>의 창작 및 향유, 전승 공간이 ‘보촌’ 지역 내에 머물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보촌가>는 총 3편이 존재하지만, 결국은 모두 동일본인 것으로 파악된다. 요컨대 <보촌가>는 ‘보촌’이라는 특정 지역의 산물로서 19세기 중반, 향촌 사회의 일면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그리고 작품의 내용과 의미에 관한 천착을 통해서 <보촌가>가 2년 동안 보촌 관아에서 근무하다가 이임하게 된 외아전이 창작했다는 새로운 사실을 최초로 밝혀내었다. 더불어 작가는 향촌 사회 내에서, 특히 가족 구성원들로 하여금 ‘오륜’의 실천을 강조하고자 <보촌가>를 창작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조선 후기 가사의 담당층 확대와 호남가사 연구의 기반 확충이라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보촌가>는 ‘오륜’의 실천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서사~결사로 구성되었는데, 실제로는 몇몇 실천 덕목 - ‘부자유친’, ‘부부유별’, ‘장유유서’ - 이 강조된 사실이 상당히 독특해 보인다. ‘부자유친’에 관한 내용은 200행이나 될 정도로 상당히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당시 보천 지역의 가족 생활상과 연계하여 ‘오륜’의 실천을 독려한 것은 <보촌가>의 독자적 개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작가의 창작 의도가 가족 구성원 사이의 결속과 질서 유지에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bibliography and content of Bochonga and figure out its creative backgrounds and meanings. It is a long Gasa work consisting of total 26 myeons, 419 haengs, and 839 gus written in Bochon-ri, Jeollanam Province as the background. There have been, however, few researches on the work, which means there are no findings about its creative intent, author, and year of creation as well as brief explanations about it. The present study thus aimed to create a chance to broaden the viewpoint in the research of Gasa work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by examining its creative backgrounds and meanings. Under the goal, the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Bochonga and found the followings: As for its creative backgrounds, the study found that the space of creating, enjoying, and transmitting the work remained within the "Bochon" area. There are three versions of the work today, and they are all the same. An investigation into the work reveals a new fact that it was written by a petty official that worked at the government office of Bochon in the middle and late 19th century. His creative intent was to emphasize the practice of the fiv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lations in the rural community. Those findings have considerable implications regarding the expansion of Gasa writer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and the proposal of a new perspective for the research of Honam Gasa works.
    Bochonga mainly talks about the practice of "fiv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lations" and is in the structure of Seosa → Bonsa → Gyeolsa, but it actually puts an emphasis on a couple of practice virtues, which include "Bujayuchin", "Bubuyubyeol" and "Jangyuyuseo", which seems very unique. The content about "Bujayuchin", in particular, spans over 200 haengs, being treated with such importance. Furthermore, Bochonga encourages the practice of "fiv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lations" in connection to the family life aspects in the Bochon area those days, which reveals the distinctive individuality of the Gasa work and, at the same time, tells that the author's creative intent was to maintain the solidarity and order among the family memb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