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주석 전통 속에서 본 천태 오중현의(五重玄義) (Tiantai 天台’s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五重玄義 from within the Chinese Buddhist Commentarial Tradi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4.12
30P 미리보기
중국 주석 전통 속에서 본 천태 오중현의(五重玄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41권 / 27 ~ 56페이지
    · 저자명 : 김주경

    초록

    중국에서 불교가 전래되어 삼장(三藏)으로 대표되는 불교 문헌이 중국화 되고 수용되는 과정은 경전의 번역[譯經], 불교문헌의 교육과 이를 통한 포교[講經], 중국 불교인들에 의해 이루어진 경전의 주석[釋經]의 형태로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 불교 경전 해석의 주석서들은 반드시 해당 경문의 해제 역할을 하는 경제석(經題釋) 부분과 경문 내용 자체를 주석하는 수문석(隨文釋)부분을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경제석 부분은, 다루려 하는 불교문헌의 명칭을 해석한다는 소박한 이름[經題釋]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해제를 넘어서 그 문헌을 전반적으로 어떻게 분석하고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심오한 고찰[宗要]이 담겨 있다.
    이렇듯 경제석 부분과 수문석 부분의 두 측면으로 고찰되던 중국불교 주석문헌은 천태 지의에 이르러 도약하게 되었다. 지의는 중국 주석 전통을 발전적으로 수용하였는데, 그가 주석하는 불교문헌도 반드시 경제석 부분[玄義]과 수문석 부분[文句, 疏]으로 다루되 둘을 분리시켜 내용상 일종의 개론서와 해석서로 구성하였다. 특히 경제석 부분은, 경전을 주석할 때 반드시 분석해야 할 다섯 가지 범주인 명․체․종․용․교를 정립하고 이를 오중현의(五重玄義)라 불렀다. 지의에 의해 정비된 다섯 범주는 이후의 한역 경전 해석법의 중요한 틀로 자리 잡게 되어 후대의 주석가들이 적극 수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불교 주석전통, 특히 과판 주석서들에 대한 탐색으로 과판주석서들에 관통하는 ‘오중현의’를 주목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천태 교학상 오중현의의 본의(本意)를 본격적으로 따져보자는 것이 아니다. 중국 주석서들의 한 면을 차지하는 경제석[현의․현론․종요 등]들에 관통하는 일관된 특성을 알아보고자 오중현의를 다룬 것이다. 후대 과문과 관련된 주석서[科判註釋]들을 보면, 경제석 부분을 자신만의 범주와 방식으로 자유롭게 쓰는 학자들도 있지만, 천태가와 화엄가의 주석전통을 따른 전적들이 상대적으로 많다. 그 중에서도 천태의 오중현의는 경전 분량과 상관없이 항상 이 구성 요건 그대로 적용될 만큼 범용성(汎用性)이 크다. 아울러 오중현의가 종파를 뛰어넘어 보편성을 갖고 있는 불교해석학의 틀이 되어 가는 과정이 바로 중국적 주석 전통의 한 부분이 확립되는 과정이다.

    영어초록

    After Buddhism came to China for the first time and the Buddhist canon (Tripitaka, 三藏) was subsequently translated into Chinese, a tradition was soon established that one should begin any scripture with a simple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經題釋, followed by the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scripture itself 隨文釋. Such a style of analyzing Buddhist scriptures results from adapting Indian Buddhist scriptures to a Chinese audience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Despite the seemingly modest name of interpreting a scripture’s title 經題釋, this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contains an in-depth analysis of how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whole scripture, going beyond a simple bibliographical note.
    At the time of Tiantai 天台 Zhiyi (智顗, 538-597), there was a great transformation in commentaries on Chinese Buddhism scriptures. Following the traditional method, Zhiyi’s commentaries first contained a comprehensive analysis 玄義 of the scripture in question, followed by a line-by-line interpretation 文句. However Zhiyi separated these two components, so that they functioned in essence as an introductory overview of the exegete’s thesis, followed by the detailed exegesis itself. He also developed the five major categories that must be included in a comprehensive analysis 玄義, and so established the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or “five chapters.” This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consists of Shiming 釋名, Bianti 辨體, Mingzong 明宗, Lunyong 論用, and Panjiao 判敎. These are “differentiating substance”, “disclosing essence”, “discussing function,” and “classifying scriptures.”These five categories became an important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analyzing Buddhist texts for numerous successive exegetes. This paper focuses on Zhiyi’s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and the patterns found in common in the introductory bibliographical analyses 經題釋 of various Chinese commentaries in respect to the "five chapters."I examined commentaries in CBETA and analyzed their literary structure by studying the textual diagram and indexed analyses of Buddhist Textual Organization (科文, Gwamun). I was able to clearly observe that the principle of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was widely adopted and used in commentaries in the following generations after Zhiyi. That the principle of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is employed in every scripture, big or small, or even regardless of its scope attests to its important generality. This study therefore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contributions made by Zhiyi in the Chinese Buddhist commentarial tradition and highlighted his scholarly brilliance as an exege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