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학적 관점에서 본 학봉과 서애의 학술 (A Study on the scholarship of hakbongand Seoae from a Yehak’s perspectiv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4.12
30P 미리보기
예학적 관점에서 본 학봉과 서애의 학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서원학보 / 19호 / 181 ~ 210페이지
    · 저자명 : 한재훈

    초록

    학봉 김성일과 서애 류성룡은 누구나 인정하는 퇴계 이황의 대표적 고제들이다. 그러나 이들 두 학자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경세론이나 임진왜란 당시의 활약상에 치우쳐 있다. 그것은 아무래도 이들이 임진왜란의 한복판에서 활약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철학이나 문학 또는 경학 분야의 연구는 간간이 발표되었다. 하지만 이들이 각각 남긴 同名異書의 『喪禮考證』이 조선시대 예학사에서 중요하게 취급되는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예학에 관한 연구는 대단히 희소하다. 본 논문은 학봉과 서애의 예학을 학술적 차원에서 검토하기 위한 시론적 작업이다. 현시점에서 학봉과 서애의 예학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 번째는 그동안 『상례고증』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던 두 학자의 예학적 외연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학봉과 관련해서는 1590년 통신사의 일원으로 일본에 사신을 갔을 때 그가 보여준 행적들을 예학적 관점에서 검토한다든가, 서애와 관련해서는 『喪葬質疑』 등의 자료들을 활용하여 그의 예학적 문제의식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는 상례고증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 경향을 반성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학봉과 서애의 『상례고증』은 모두 『예기』의 내용으로 가례를 보완한 예서라는 전제 위에서 서술되었다. 하지만 이들이 『상례고증』을 편찬한 목적을 그렇게 평가하기에는 여러 가지 석연찮은 점들이 발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짚어보았다. 즉, 학봉과 서애는 각자 부모님의 상을 치르는 상황에서 상례의 본의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예기』를 집중적으로 공부했고, 그 결과를 『가례』의 범주에 맞게 정리했다는 가설이다. 본 논문은 학봉과 서애의 예학과 관련한 연구가 진일보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시론적으로 제기한 것일 뿐이다. 앞으로 이러한 점들을 좀 더 정치하게 다듬어야 할 숙제가 남아 있다.

    영어초록

    Hakbong(Kim Sung-il) and Seoae(Ryu Sung-ryong) are Toegye(Yi Hwang)'s most accomplished and highly regarded students.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these two scholars focus on Theory of State Management or their activities during the Imjin War(Japanese Invasion of Korea).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ir respective works of Yehak in the history of Joseon Yehak,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on the subject of their works of Yehak. This paper is a preliminary work to examine the Yehak of Hakbong and Seoae on a scholarly level.
    At this point, it is believed that two things are necessary to review the Yehak of Hakbong and Seoae. Firstly, the Yehak of the two scholars have been studied by academics, mainly in the context of the book Sangryegojeung(喪禮考證), but it is time to expand the circle. For example, in relation to Hakbong's Yehak, it is necessary to examine his actions when he went to Japan as a messenger in 1590, and in relation to Seoae's Yehak, it is necessary to elucidate his problems by using his writings such as the Sangjangjileu(喪葬質疑). Secondly, it is necessary to reflectively reexamine the tendency of the research on Sangryegojeung(喪禮考證). In the meantime, Sangryegojeung(喪禮考證) have been described as works that utilised the contents of the Yegi(禮記)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Garye(家禮).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things that make it hard to believe that this was the purpose of compiling the books. So in this paper, I look at the issue from a different angle. In other words, it is hypothesised that during the period of their parents' funerals, Hakbong and Seoae studied Yegi(禮記) intensive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rituals, and organised their findings into the category of Garye(家禮).
    This paper is merely a preliminary attempt to raise some of the question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order to advance the study of the Yehak of Hakbong and Seoae. Fine-tuning these points is a challenge for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서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