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양 고대 그리스의 모방론에서 본 춤 예술 (Dance and Art in Greek Mimetic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0.12
13P 미리보기
서양 고대 그리스의 모방론에서 본 춤 예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권 / 4호 / 247 ~ 259페이지
    · 저자명 : 임정미

    초록

    이 연구는 모방론의 관점에서 춤과 예술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플라톤 관련 서적과 아리스토텔레스 관련 서적을 참고하여 모방론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모방의 개념을 정의하고, 플라톤의 모방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론을 논의하였다. 이를 근거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론에서 춤과 예술의 의미를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모방의 일반적인 개념은 원상과 가까운 모상을 만들어 내는 행위이며, 플라톤은 이데아의 모방을 설명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보다 더욱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모방을 설명하였다. 그는 모방이란 예술가가 내적인 체험까지 포함하여 나타내는 모방행위라고 기술하였다. 플라톤의 모방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론에 나타난 춤과 예술을 의미를 살펴본 결과, 플라톤의 모방론은 이데아의 모방이며, 예술을 보다 낮은 위치에 놓았기 때문에 오늘날 예술가와 무용수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반면에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론에 의하면 예술은 자연을 모방하는데, 원상을 그대로 모방하는 것을 넘어 예술가와 무용수들은 자신의 내면을 표출한 예술적 모방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예술가와 무용수들은 좋은 작품, 좋은 그림, 좋은 행위를 모방하여야 하고, 그것들을 모방함에 있어 자신의 내면적, 심리적, 아름다운 몸짓을 포함하여 모방행위를 하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언급한 모방의 의미이며, 진정한 예술에 있어서의 모방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dance and art from the viewpoint of mimetic theory of art. With related publications and reference, Plato(BC 428-348) and Aristotle(BC 384-321) are studied around the mimetic theory. The concept of mimesis is defined and then Plato's and Aristotle's views are compare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imesis is generally an act that makes an imitation of a thing from the original state of it. In view of the mimetic theory, therefore, art is essentially an imitation of nature. Plato explains the mimesis of "Idea" in line with metaphysics while denies physical things. He claims that every phenomenon in the world is only an imitation of its nature and art is an imitation of the imitation and thus barely real at all. Aristotle agrees that art is essentially an mimesis. But he goes over Plato's concept. To him, mimesis is in part the act of intellect and imaginative use of nature, and thus art is natural and beneficial. Plato is not highly appraised among dancers and artists today since he underestimates dance and art while Aristotle estimates that art imitates not only the outside of event but intended behavior and even the unseen "inner life" of persons. Aristotle confirms artistic mimesis that dancers and artists represent their internal attributes. In sum, dancers and artists are requested to imitate good works, good paintings and good performances. Their imitation, more importantly, requires to include internal, psychological and beautiful acts of themselves. These are the true meaning of mimesis that not only Aristotle implies but also real art repres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