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易』에서 본 參天兩地의 易學的 의미 (A Study on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SamchunYangji in Zhengyi)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3.04
23P 미리보기
『正易』에서 본 參天兩地의 易學的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127권 / 215 ~ 237페이지
    · 저자명 : 유병헌, 임병학

    초록

    본 논문은 『正易』의 입장에서 『주역』 「설괘」 제1장에서 밝힌 ‘參天兩地’의 역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先儒들은 ‘參天兩地’의 參天과 兩地의 數에 대하여 여러 주장을 하였으나 서로 견해가 다를 뿐만 아니라, 이 또한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는 삼천양지의 의미를 파악할 문헌적 고증이 쉽지도 않았지만, 그 당시 易에 대한 선유들의 인식은 占術이라는 관념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정역』에서는 參天兩地를 ‘三天兩地’라 하여, 1·3·5·7·9 奇數 중 生數인 1·3·5를 三天이라 하고, 成數인 7․9를 兩地라 정의하였다. 天數를 생수와 성수로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다. 이것은 天道의 四象을 위주로 음양이 분리되어 작용하는 洛書의 이치를 담고 있는 數이다.
    또 三天兩地와 함께 ‘三地兩天’을 밝히고 있는데, 이는 2·4·6·8·10 偶數 중 成數인 6·8·10을 三地라 하고, 生數인 2·4를 兩天이라 정의하였다. 즉, 地數도 생수와 성수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음양이 合德된 數(짝수)로 五行을 위주로 전개되고 있는 河圖의 이치를 담고 있는 數이다.
    또한 『정역』은 三天兩地·三地兩天과 河圖·洛書·先天·后天 및 旣濟·未濟와의 관계를 논하고 있다. 하도는 후천이고 낙서는 선천이며, 천지의 이치는 旣濟와 未濟임을 밝히고 있다. 『정역』의 이와 같은 논리들은 『주역』에서 밝히고 있는 ‘마치는 곳에서 다시 시작하는 것이 하늘의 운행 원리’를 증명하는 것이다.
    『『정역』의 三天兩地에 대한 논의를 통해 『주역』 「설괘」 제1장에서 밝히고 있는 易道의 표상체계와 학문체계를 논하고 있다. 易道의 표상체계는 數로써 구성된 하도․낙서, 卦로 구성된 八卦와 六爻重卦로 정의하고 있다. 또 道德에 화합하고 순종하며, 窮理盡性을 하는 것이 作易의 목적임을 밝히고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epidemiological meaning of “SamchunYangJi(Three Heavens and Two Earths)”, which is discussed in Chapter 1 of I-Ching “SeolGwae”, focusing on Zhengyi. The pre-Confucian scholars made various claims about the number of heavens and earths in “SamchunYangJi”, but not only do they have different opinions, but they also fail to provide an accurate basis for this. This is because it was not easy to do historical research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amchunYangji”, but at that time, the pre-Confucian scholars' perception of the station was dominated by the idea of divination.
    In Zhengyi, SamchunYangji is called “SamchunYangji(三天兩地)”, and 1·3·5 is taken as the number of three heavens in the basic number of birth numbers among 1·3·5·7·9. In the number of achievements, 7·9 is taken as the two number. In other words, it is clearly presented as a basic number and achievement number, among the heavenly number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Luoshu(洛書), which mainly reveals the four signs of the way of heaven, the action before the combination of yin and yang.
    “SamjiYangchun(Three Earths and Two Heavens)” is revealed along with SamchunYangji. This takes 6․8․10 as the number of the three lands in the number of achievements among the number of 2·4·6·8·10, and takes 2·4 as the number of dual heavens in the basic numbers. In other words, it is presented as a basic number and achievement number among the earthly numbers,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in accordance with the Hetu(河圖), which is developed mainly on the five elements, the personal world that has been developed as a number(even number) in which yin and yang are united.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SamchunYangji of Zhengyi, we reinterpreted the academic system of I-Ching revealed in Chapter 1 of I-Ching “Seolgwae”. Chapter 1 discusses the symbol system of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and academic system. It defines Hetu-Luoshu as composed of numbers and Gwae(trigram) in a symbol system of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