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사무가적 측면에서 본 <신중타령> 연구 (A Study on Sinjung-Taryeong Viewed in the Shamanic Epic aspec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1.08
28P 미리보기
서사무가적 측면에서 본 &lt;신중타령&gt;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43호 / 247 ~ 274페이지
    · 저자명 : 신소연

    초록

    이 글은 동해안굿에서 불리는 무가 <신중타령>을 소개하고자 마련되었다. <신중타령>이란 ‘신중’ 또는 ‘신중애기’라 불리는 여성신의 내력을 설명하는 본풀이로서 민중의 여성이 겪는 고통과 청춘과부의 애달픈 일생을 노래한다는 특징을 지닌 구비서사시이다. 이 서사시는 천애의 고아로 힘들게 자란 여성이 혼인하여 청춘에 과부가 되었으며, 시집살이의 설움을 견디지 못하고 마침내 중이 된다는 내용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서사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일반적 보편서사로, 보통 서사민요로 전승되는 것이 예사이다. 그런데 동해안 지역에서는 이것이 특별하게 서사민요는 물론 서사무가로도 불리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신중타령>은 서사무가와 서사민요 사이에 심각한 갈래적 혼란을 야기하는 자료이다. <신중타령>에서 발견되는 무가와 민요의 교섭 양상은 종래의 무가가 민요화 되었다고 보는 보편적인 관점과는 구분된다. 여기서는 신성한 인물의 세속화 문제나 골계적 요소 등이 대두되지 않으며, 일상적 인물의 비극적 삶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신중타령>의 주인공은 신성(神聖)한 인물이 아닌 비극적 삶을 영위한 민중의 일반 여성이며, 신령으로 위하고 모시는 것이 아니라 어르고 달래줘야 하는 위무의 성격에 가까운 신격을 지닌 점이 드러난다. 그렇기에 이 무가는 신령서사시나 영웅서사시가 아닌 범인의 내력을 보여주는 범인서사시라는 점에서 소중하다.
    ‘<신중타령>을 서사무가로 볼 수 있는가?’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논쟁에도 <신중타령>을 서사무가로 봐야 하는 연유는 이 무가가 갖는 서사적·의례적 기능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신중은 상위신격이 아닌 하위신격에 머무르는 신격이다. 하위신격이기 때문에 신직을 부여받는 특별한 서사적 결말이 존재하지 않으며, 의례적으로도 독자적인 굿거리를 배당 받지 못한 점이 드러난다. 그럼에도 <신중타령>과 같은 신격의 의례가 본풀이로 구현되는 것은 무속서사시의 새로운 전환을 의미한다. 이 무가는 본래는 여성이 전유했던 여성의 서사시였으나, 조선후기 무속에 편입하게 되면서 공감과 치유의 무속서사시로서 기능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study was arranged to introduce a <Sinjung-Taryeong> Shamanic Songs called in the Donghaeangut. ‘Sinjung-Taryeong’ is a story about the history of the female god, called ‘Sinjung’ and is a poem that features the sad life of a widow and suffering of women the people. The epic tells the story of a woman who grew up as an orphan married and became a widow, unable to endure the pain of living with her in-laws and eventually became a monk. This type of epic is a universal narrative type with a nationwide distribution. It is usually handed down to epic folk songs. But the East Sea Coast regions, This narrative type is passed down not only to epic folk songs but also to shamanic epics.
    <Sinjung-Taryeong> is a source of serious confusion between Shamanic Epic and epic folk songs. The negotiation aspect of Shamanic Epic and folk songs is distinct from the universal view that traditional Shamanic Epichas become. Here, the tragic life of everyday characters is emphasized. The main character of <Sinjung-Taryeong> is not a sacred figure but a woman in the general public who lived a tragic life. He is not sacred but close to a divinity that needs to be comforted. This Shamanic Epic is not a divinity story or a hero epic. It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is an epic story that shows the criminal's.
    Is <Sinjung-Taryeong> a shamanic epic? The reason why you should view <Shinjung- Taryeong> as a shamanic epic is because of its epic and ceremonial functions. Shinjung is not a high divinity but a lower divinity. There is no particular narrative ending that is granted a new position because it is a lower divinity. Ritualistically, it was not allocated its own the tune of gut.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in terms of the new transition of shamanistic epic that the ritual of deity such as <Sinjung-Taryeong> is embodied in bonpury. This shamanic epic would have originally been a female epic. However, when that was incorporated into sham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would have been in charge of empathy and healing as a Shamanic Ep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