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찰 문화에서 보는 전통 꽃꽂이 양식 (The Study of Traditional Flower Arrangement Style through the Temple Cultur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12
29P 미리보기
사찰 문화에서 보는 전통 꽃꽂이 양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33권 / 33호 / 133 ~ 161페이지
    · 저자명 : 한상숙, 이부영

    초록

    사찰문화에 나타난 꽃 사료를 통해 전통 꽃꽂이 양식을 찾아보고자 화병이나 수반에 꽂혀있는 꽃이 묘사된 꽃 문, 불단, 벽화, 회화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사찰의 유물과 유적에서 화병꽂이, 수반꽂이, 삼존양식, 꽃바구니와 꽃다발 등이 확인되었다. 화병꽂이는 다시 아래로 흐르는 형, 위로 올라가는 형, 수평을 이루는 형과 삼존양식으로 구분하였다. 아래로 흐르는 형은 꽃 문, 벽화, 불단 등에서, 수평을 이루는 형은 불단에서, 삼존 양식은 불상에서, 위로 올라가는 수직형 양식은 천장화와 감로탱화 등에서 확인되었다. 감로탱화에서는 수목(樹木)양식에 가까운 꽃이 달린 나무가 세워져 있었으며, 연꽃이 선적으로 꽂혀 있었다. 수반꽂이의 반구형은 벽화와 수월관음도에서, 화만(華鬘)양식은 수월관음도에서 확인되었다.
    동양에서 수반꽂이는 일본에서 서양식 건축이 도입된 후 만들어진 모리바나(盛花)를 많이 드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 운문사 불단에서 발견되어 그보다 앞서서 시행되었던 것 같다. 꽃바구니는 해인사 대적광전 불단, 꽃다발은 대흥사 대명광전 천장화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emple culture related to flower arrangement, traditional flower arrangement style were identified as bottle holders, water tray, tree-shaped form, baskets, and bouquet.
    Bottle holders (甁花) could be reclassified as vertical, sewage type, horizontal and tree-shaped form. Sewage type found from floral doors, mural, Buddhist altar, horizontal type from Buddhist altar, tree-shaped form from statue of Buddha, temple, vertical type from painting on the ceiling and altar portrait(甘露幀畫). From altar portrait(甘露幀畫), tree styled flowered tree was appeared and lotus flower were arranged in linearly. Hemispherical type was flower arranged in pot similar to the basket without handle, and identified from Sudeoksa murals, stone comb of Goryeo era, and Water Moon Guanyin picture(水月觀音圖).
    Generally, Moribana was considered as the first oriental water tray flower arrangement while we found it from Buddhist altar of Unmunsa temple(雲門寺) which remodeled earlier in Joseon era. Flower basket style was found from altar of Haeinsa Daejeokgwangjeon, flower bouquet was found from painting of ceiling from Daeheungsa Daemyeonggwangjeon(大興寺 大明曠田).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