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우진 극작술의 맥락에서 본 「정오」 (「Noon」 in the context of Kim woojin's dramatur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1.10
29P 미리보기
김우진 극작술의 맥락에서 본 「정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4호 / 525 ~ 553페이지
    · 저자명 : 정우숙

    초록

    단순한 스케치풍 소품인 「정오」는 김우진 희곡 중 최초의 습작으로 여겨져 왔다. 최근 표기 방법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이 희곡이 그의 첫 번째 작품은 아니라는 추정이 힘을 얻는 동시에, 이 작품 나름의 의의를 재고하는 논의들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김우진의 전반적인 희곡 세계를 고찰하는 데 있어 「정오」는 가장 중요하지 않은 작품으로 간주된다. 지금까지 「정오」는, 형식적으로 미숙함에도 불구하고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의 단초를 보인다는 점에서는 다른 희곡들과 연관된다고 인정되어 왔다. 본고는 「정오」가 김우진의 다른 네 편의 희곡- 「이영녀」 「두데기 시인의 환멸」 「난파」 「산돼지」-들과 공유하는 극작술상의 특성들에 주목하였다. 현재형 사건 및 결말의 약화, 잠의 모티브 및 노래의 개입, 상징적 비유로서의 표제어 등 「정오」를 형상화하는 데 동원된 극작술이 김우진의 다른 희곡들에도 고르게 나타남을 살펴본 것이다. 전반적인 극작술의 맥락에서 「정오」를 재탐색함으로써, 이 작품이 단지 사회비판적 소재 선택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잠재적 저항을 지향하는 문제적 청년의 상징성을 제시하는 등 더 심화된 차원에서 김우진 희곡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Noon」, a simple sketchy shortpiece, came to think as the first practice piece in Kim woojin's plays. Through the empirical-positive research led recently about Kim's notation method, the presumption that 'this play is not his first work' has been encouraged. Simultaneously, the discussions which reconsider the questionable matter of this work in its own way start coming out. But if you ever consider Kim woojin's overall drama world, 「noon」 is regarded as the least important work.
    Until now 「Noon」, though it's immature on form, is acknowledged as seem to correlate to Kim's other plays from the point that it has the clue of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the 1920's Korean society.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 dramaturgy natures which own jointly with Kim's other four works - 「Lee YoungNeo」 「The Disillusion of Dudegi Poet」 「Wrecked」 「Wild Pig」. We notice the weakening of event and end, intervention of sleep and dream and song, headword as figurative symbol etc, which is the dramaturgy mobilized to give shape 「Noon」 as well as his other works. Researching 「Noon」 in the context of general dramaturgy, we are able to confirm that it shows the deepened nature of Kim's drama which not only select social critical subject matter, but also presents the symbolic characteristic of the problematic youth who aims a latent resi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