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정사회와 보금자리주택 (Fair Society and Bogeumjari Hous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1.08
20P 미리보기
공정사회와 보금자리주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54권 / 33 ~ 52페이지
    · 저자명 : 허강무

    초록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8․15경축사에서 ‘공정한 사회’를 천명한 이후 우리 사회에는 공정사회가 새로운 화두로 등장했다. 공정사회 논의에서의 핵심 중 하나는 부동산정책이다. 특히 보금자리주택사업은 사업초기부터 형평성 논란으로 찬반이 극명하게 대립되고 있는 현 정부의 친서민정책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현 정부의 국정과제인 공정사회 관점에서 보금자리주택사업의 쟁점을 법학자의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제Ⅱ에서는 헌법과 주택정책을 고찰하고, 제Ⅲ에서 보금자리주택제도의 도입배경 및 구조를 살펴보았다. 제Ⅳ에서는 소위 ‘공정사회’ 관점에서의 보금자리주택 논쟁을 정리하고 제언하였다.
    보금자리주택은 사업진행 과정에서 주택공급방식, 개발제한구역(이하, 그린벨트) 훼손, 개발이익사유화 등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이제 정부는 보금자리주택사업이 국민의 쾌적한 주거생활권 보장과 국가의 주택개발정책노력의무에 어떻게 하면 보다 가깝게 접근할 것인지 고민할 시점이다. 또한 공정사회 관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쟁점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해결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보금자리주택의 문제점은 분양가를 저렴하게 책정함으로써 발생하는 개발이익을 최초분양자가 사유화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의무거주기간과 전매제한기간을 확대하였지만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주택법을 재개정하여 환매조건부 주택제도를 부활하거나 「환매조건부 주택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보금자리주택의 저가분양으로 인한 개발이익을 원천적으로 환수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보금자리주택이 그린벨트를 해제하여 건설하는 주택이라면 그만큼 공공성을 지녀야 한다. 일반분양주택이 아니라 환매조건부 주택이 보다 더 정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A fair society has appeared as a new conversation topic since the President Myung-Park Lee declared a “fair society” in the August 15 congratulatory speech last year. One of the essential problems in the fair society discussion is the problem of real estates. In particular, the project of Bogeumjari Housing is one of the low-income bracket friendly policies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where the pros and cons manifestly have conflicted with each other due to the fairness disputes from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This study addresses, from a legal scholar's perspective, relevant disputes relating to the project of Bogeumjari Housing in light of the fair society, which is the national task of the current government.
    In the first place, Chapter II examines the Constitution and the housing policies, and Chapter III considers the background information and structure of the system of Bogeumjari Housing. Chapter IV summarize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relevant disputes relating to the Bogeumjari Housing in view of the so-called “fair society.”The Bogeumjari Housing has been subject to disputes in the progress of project, including the housing supply methods, greenbelt damages, privatization of development gains/benefits. As of now, the government is placed at the point in time to take into consideration how the project of Bogeumjari Housing comes closer to preservation of pleasant residential living areas and the government's housing development policy obligation. Furthermore, certain solutions should be made to reconcile the aforementioned disputes in view of the fair society.
    The problem of Bogeumjari Housing is that it has caused the first sellers to privatize development profits that arise in fixing the sales prices cheap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mpulsory residence period and the resale period has increased, but it cannot become a fundamental measure to take. The government needs to find out solutions of reviving the resale conditioned housing policy by amending the Housing Act again, or of recapturing the development costs incurred as a result of the low sales prices for the Bogeumjari Housing by establishing the 「Special Act Relating to Resale Conditioned Housing」.
    To the extent that the Bogeumjari Housing constitutes houses constructed by removing development restriction zones, it should have public interests. It should be also considered that the resale conditioned housing has more public interests than the general sales hous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