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의 예학과 『가례보의(家禮補疑)』 (SaMiHun Jang Bok Chu’s Rieh Study and "Ga Rieh Bo Ui")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08.12
32P 미리보기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의 예학과 『가례보의(家禮補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14호 / 259 ~ 290페이지
    · 저자명 : 이승연

    초록

    사미헌 장복추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1862년의 농민봉기를 시작으로, 1882년의 임오군란과 제물포협약, 1884년의 갑신정변, 1895년의 갑오개혁과 그 뒤를 이은 단발령 등, 주자학적 세계의 붕괴를 예고하는 일련의 사건들을 몸소 체험하였던 인물이다. 그러나 그가 이 시대적 격변기에 대항하여 취하였던 정치적 행동은 ‘청물개의제소(請勿改衣制疏)’를 상주한 것이 전부였다. 그는 오히려 그러한 시대적 변화를 뒤로 한 채 『가례보의』라는 예서 편찬에 평생의 정력을 바쳤다. 그렇다면 주자학적 세계의 붕괴를 예고하는 이 일련의 사태가 그에게는 무의미한 일로 비쳤다는 것일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그보다 그는 대다수 영남 남인들이 그러하였던 것처럼, 주자학적 삶을 통해 그 시대의 풍랑을 극복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 글은 논제에 밝힌 것처럼, 구 한말 성주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사미헌 장복추의 『가례보의』를 중심으로 그의 예학적 특성 및 사상사적 위상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사미헌의 『가례보의』는 퇴계학설을 근간으로 하면서도 영천지역에서 활약하였던 정만양 ․ 규양형제의 『의례통고』를 비롯하여 그의 제자인 정중기의 『가례집요』, 그리고 그의 선조인 장현광의 예설 등, 영남남인의 예학을 대거 수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김장생의 『가례집람』과 『상례비요』, 이재의 『사례편람』, 이의조의 『가례증해』 등 서인 예학도 폭넓게 수용한 예서이다. 따라서 이 글은 사미헌의 『가례보의』를 영남 예학의 집대성으로 자리매김하면서, 『가례보의』에 등장하는 예학자와 예설들을 재구성하여 영남 남인예학의 전개과정을 추적하는 한편, 그것을 기반으로 『가례보의』의 예학사적 특성 및 위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SaMiHun Jang Bok Chu was a person who personally experienced a series of events that forewarned the destruction of the world as it is known to the JuJa School’s perspective, beginning with the Peasants’ Uprising in 1862, the ImOh Military Coup and JeMulPo Compact in 1882, GabShin Political Unrest in 1884, GabOh Reformation in 1895, followed by The Edict of Short Haircut, etc. However, all the political action he took in response to the upheavals of the time was submitting ‘ChungMulGaiUiJeSo’. He rather turned his back on such upheavals of the time, in order to devote his entire life’s energy to publishing <GaRiehBoUi>, a book of Rieh Study. Does this mean that the series of events, which forewarned the end of the world according to JuJa School, appeared to him as if they were meaningless events? It is doubtful. As his most contemporary RiungNam Southerners did, he attempted to overcome the tumults of his days through the life according to JuJa School.

    As stated in the title, this paper seeks to illumine the specialty of SaMiHun Jang Bok Chu’s Rieh Study in the phase of the history of thought, centering about Jang who was active in SungJu region in the closing days of Old Korea, and about his work, <GARiehBoUi>. While SaMiHun’s <GaRiehBoUi> is rooted in the ToeGieh School’s teachings, it largely accommodates not only Jung Man Yang, Jung Giu Yang Brothers’ <UiRiehTongGo>, who were active in YungChun region; his student, Jung Jung Gi’s <GaRiehJibYo>; and his predecessor, Jang Hiun Gwang’s discussions on Rieh; but also the works of The Westerners, such as Gim Jang Sang’s <GaRiehJibRam> and <SangRieh BiYo>, Yi Jae’s <SaRiehPiunRam>, Yi Ui Jo’s <GaRiehJungHae>, etc. Accordingly, this paper on one hand places SaMiHun’s <GaRiehBoUi> as the completed collection of RiungNam Rieh School, while on the other restructures the Rieh scholars and discussions that appear in <GaRiehBoUi>, and clarifi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RiungNam Southerners’ Rieh Study. With such a clarification as its foundation, the paper seeks to illumine <GaRiehBoUi>’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its location in the Rieh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