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물보』「식음」에 나타난 음식 물명의 사실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uality of Food Names in “Sigeum(食飮)” of the Jaemulbo(才物譜))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2.06
34P 미리보기
『재물보』「식음」에 나타난 음식 물명의 사실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62호 / 159 ~ 192페이지
    · 저자명 : 주영하

    초록

    본고는 이만영(李晩永, 1748~1817)의 재물보(才物譜) 가운데 식음(食飮) 의 분류와 내용을 분석하여 음식 물명의 사실성(事實性) 여부를 살피는 글이다. 필자는 이만영이 한글과 출처로 ‘속(俗)’이라고 붙인 물명이 한자의 번역어인지, 아니면 일상에서 실제로 사용된 것인지를 주로살폈다. 앞선 연구자들은 재물보 를 조선시대 사용된 물명의 구체적인 명칭을 알 수 있는 고문헌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식음 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앞선 연구자들의 주장이 틀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음은 식음 의 물명 서술이 지닌 특징이다. (1) 고대 중국 문헌에서 한자 물명을 가지고와서 그에 대한 한문 설명을 주로 하고 있다. (2) 조선시대 문헌에는 나오지 않는 한자 물명이 적지 않다. (3) 지식인의 독서와 집필에 필요한 한자 물명이 많은 편이다. (4) 한자 물명에 한글이붙은 경우, 대부분은 한글 번역어이다. (5) 조선음식의 물명도 적혀 있지만 그 양이 많지 않다. (6) 음식 문목에 그것을 만드는 도구의 물명을 넣었다. (7) 조선의 실제 모습에 근거한 ‘속’이 붙은 물명은 18가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필자는 이만영의 재물보 식음 의 내용이 당대의 식생활을 일부 반영했을 뿐, 대부분의 내용은 실제의 사실성과 거리가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ategories and records of foods appearing in the “Sigeum” [Comestibles and potables] section of the Jaemulbo [A polymathic manual] by Yi Manyeong 李晩永 (1748–1871), through which to investigate the factuality of the food names introduced in it. I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names that Yi Manyeong marked “sok” 俗 (‘vernacular’) to see if they were translated from Sinitic names written Chinese characters or actually used as they were in everyday life. Previous studies have assumed that the Jaemulbo informed us of the names used in the daily life of Chosŏn Korea, but the analysis in this study suggests that such an assumption is not justif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igeum” predominantly adopted names directly from ancient Chinese records and explained them in literary Sinitic. (2) There are a number of Sinitic names that were not found in other Chosŏn records. (3) It contained quite many Sinitic names helpful to literati in their reading and writing. (4) For Sinitic names that were added with Korean names in Hangeul, the Hangeul names were mostly simple translations of the Sinitic. (5) Although there were names of Chosŏn-Korean foods, they amounted only few. (6) The “Sigeum” also included the names of tools to make food. (7) No more than eighteen names that were marked “sok” were accounted for in the actual Chosŏn food culture. Therefore, I conclude that the “Sigeum” of the Jaemulbo only partially reflects the dietary of the era when Yi Manyeong lived, and most of the contents were far from the fact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