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병법가전서(兵法家伝書)』를 통해 본 야규 무네노리(柳生宗矩)의 무도사상 (A Study on the Yagyu Munenori’s Martial Art Philosophy in Heihou Kadensho)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8.02
14P 미리보기
『병법가전서(兵法家伝書)』를 통해 본 야규 무네노리(柳生宗矩)의 무도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사회 21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 21 / 9권 / 1호 / 925 ~ 938페이지
    · 저자명 : 윤민철

    초록

    본 논문은 에도시대 3대 병법서 중의 하나인 『병법가전서』의 고찰을 통해 야규 무네노리의 무도사상을 검토하였다. 야규 무네노리는 에도 초기 쇼군가의 검술사범으로 저명한 검술가인 한편 막부의 소메쯔케(惣目付)와 야규번의 번주로서 유력한 정치가였던 인물이다. 『병법가전서』는 신카케류(新陰流) 검술의 상전(相傳)을 위해 저술된 야규가 비전(祕傳)의 무도서였다. 『병법가전서』에서 진리교(進履橋)의 권이 단순 기술 전수의 목록이라면 별전(別傳)으로서의 살인도(殺人刀)와 활인검(活人劍)의 각 권에서는 심법(心法)에 중요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을 하고 있다. 야규는 개인의 검술이라는 도법(刀法)보다는 치국(治國)의 의미까지 확장된 병법(兵法)이란 용어를 기본용어로서 채택을 하였으며 혼란한 시기의 살인도와 안정된 시기의 활인검을 나누어 설명하면서 에도시대라는 평화 시기에 있어 무사의 새로운 역할과 수련방향을 제시하였다. 『병법가전서』는 에도시대 무사들의 새로운 지배이념으로 유·불·도의 다양한 사상이 수용되던 과정에서 나타난 저작물이었으며 야규의 무도사상은 후대의 무가서적들에도 영향을 미치며 일본 무도사상의 기층을 형성하였던 점에서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영어초록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Yagyu Munenori(柳生宗矩)’s martial art philosophy by analysing and considering his book, Heihou Kadensho(兵法家伝書), one of the three tactics books in Edo period. Yagyu Munenori was the notable swordman as the swordmanship master of second and third Shogun of Tokugawa’s family and was the powerful politician as the censor of Edo Shogunate and a Daimyo(大名), the feudal lord of Yagyu-han. Heihou Kadensho was written for handing down the technique of swordmanship, Shinkage-ryu(新陰流). But Yagyu emphasized the practice of mind with the training of swordmanship skill in his book. He explained the role of sword and warrior in warlike period and peace period. He intended to change the swordmanship as a individual warfighting skill to the tactics as a statecraft and governing. His book suggested the new role and practice of warrior in Edo period, warless and peace times. Answering the demand s of the change of times, he embraced various ideology such as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as the control idea of warriors. His grafting of ideologies became the foundation of martial art philosophy and Bushido in early modern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 21”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