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조혈모세포 근원에 따른 이식 성적 비교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Pediatric Acute Myelogenous Leukemia: Relevance of the Stem Cell Source to the Transplant Outcome)

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05.12
1P 미리보기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조혈모세포 근원에 따른 이식 성적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혈액학회
    · 수록지 정보 : Blood Research / 40권 / 4호 / 5 ~ 5페이지
    · 저자명 : 이혜령, 한동균, 백희조, 김영옥, 김석주, 송은송, 국훈, 황태주

    초록

    배경: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완치를 위해서는 완전 관해 후 재발없이 관해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관해 시 조직적합항원(HLA)-일치 형제가 있을 경우에는 형제간 동종이식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지만, 없는 경우에는 항암치료를 지속하거나,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비혈연 골수이식 혹은 비혈연 제대혈 이식 등을 시행할 수 있으나, 이 중 어느 방법을 선택해야 하는 지는 아직 논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 받은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조혈모세포 근원에 따른 치료 성적과 재발률 및 치료에 따른 합병증 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방법: 1996년 6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32명(이 중 2명에서는 자가이식 후 비혈연이식을 시행하였으므로 34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혈모세포 근원의 종류에 따른 이식 당시의 상태, 전처치, 이식편대 숙주반응(GVHD)의 예방방법 및 발생 빈도, 치료에 따른 합병증 및 사망원인과 무병생존율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34명 중 남자가 19명, 여자가 14명이었고, 중앙 연령은 8세 10개월,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17개월이었다. 28예는 제1관해 시, 3예는 제2관해 시, 1예는 제3관해 시 이식을 시행하였고, 이식 시 부분관해상태는 2예였다. 자가 말초혈 조혈모세포이식은 17예,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은 17예에서 시행되었다. 동종 이식 중 10예는 HLA-일치 형제간 이식, 5예는 HLA-일치 비혈연 이식, 1예는 HLA-불일치 혈연이식, 1예는 비혈연 제대혈 이식을 시행하였다. Grade II 이상의 급성 GVHD는 형제간 이식군의 20%에서, 비혈연 이식군의 85.7%에서 발생하였다(P<.01). 2년 누적 재발률은 자가 말초혈 조혈모세포이식의 경우에 46.4%였고, HLA-일치 형제간 이식 20.0%, 비혈연 이식 31.5%였다. 이식 후 2년 Kaplan-Meier 무병생존율은 전체 55.7%였으며, 형제간 이식에서 80.0%, 비혈연이식에서 68.6%, 자가 말초혈 조혈모세포이식에서는 46.3%를 보였다.

    영어초록

    Purpose: Postremission therapy is critical for long-term survival in patients with 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the first complete remission (CR) using HLA-identical sibling may offer the best chance for long-term leukemia-free survival. Patients without matched siblings may have several treatment options including intensive chemotherapy alone or myeloablative therapy followed by autologous or allogeneic stem cell resc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outcomes after matched sibling transplantation (MST), unrelated stem cell transplantation (non-MST), or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APBSCT) as postremission therapy in patients with AML.
    Methods: Thirty fou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s (SCT) in 32 children with AML were done between June, 1996 and December, 2004. Two patients who failed prior APBSCT underwent 2nd unrelated transplantations. Disease status at the time of transplant, conditioning regimen,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prophylaxis, the incidence of GVHD, complications, cause of death, over-all survival and event-free survival were retrospectively compared in relation with stem cell sources.
    Results: There were 19 males and 13 females with the median age of 8 yr 10 mo. The median follow-up was 17 mo. Twenty-eight cases were transplanted in CR1. Most cases (5/6) of patients other than CR1 were allocated in non-MST group. APBSCT was done in 17 cases, and allo-transplants in 17, which included MST in 10, matched-unrelated BM transplant in 5, haploidentical CD34+selected peripheral blood transplant in 1, and 1-antigen mismatch unrelated cord blood transplantation in 1. Acute GvHD ≥ Grade 2 were found in 20% in MST vs. 85.7% in non-MST (P<.01). Two-year cumulative relapse risks were 46.4% in APBSCT, 20% in MST and 31.5% in non-MST. The Kaplan-Meier 2-year EFS in all cases were 55.7%: 46.3% in APBMT, 80.0% in MST, and 68.6% in non-MST, despite higher proportion of high risk patients in non-MST group.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MST was the best option for pediatric AML. For patients without matched siblings, unrelated transplants fared better survival and lower relapse than APBSCT. However, further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incorporating a larger number of patients and cord blood transplant arm is necessary to definitely answer the best option for pediatric AM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