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과 우울 증상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Insomnia and Depression in Type 2 Diabetic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9.06
10P 미리보기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과 우울 증상의 관련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신신체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신신체의학 / 27권 / 1호 / 50 ~ 59페이지
    · 저자명 : 이진환, 전진숙, 최영식, 김호찬, 오병훈

    초록

    연구목적: 2형 당뇨병을 지닌 환자의 다수에서 수면문제가 동반되며, 이들에서 불면증의 비율은 일반 인구에 비해서높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의 발생빈도, 불면증의 임상적 특징 및 이에 연관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18세에서 80세 이하의 99명(남자 65명, 여자 34명)을 대상으로 연구자 1인(제1저자)가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으로 수면 잠복기, 총 수면시간을 조사하였고, 한국판 불면증 심각도 지수(Korean Version of Insomnia Severity Index, ISI-K) 평가하고, 우울증상의 심각도는 한국판 Hamilton 우울증평가 척도(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로 평가하였다. ISI-K의 절취점 15.5점을 기준으로 불면증 있는 군(N=34명)과 불면증 없는 군(N=65)으로 양분하여 불면증군과 대조군의여러 변인과의 연관성을 상관분석하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토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결과: 2형 당뇨병 환자의 34.34%(N=34)에서 불면증이 있었다. 불면증이 있는 2형 당뇨병 환자군은 불면증이 없는2형 당뇨병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미혼(11.8%)이나 이혼(11.8%)이많았고(p<0.05), K-HDRS 총점(11.76±5.52 점)이 높았으며(p<0.001), 총수면시간(5.35±2.00시간)이 짧았고(p<0.001), 수면잠복기(50.29±33.80분)가 길었다(p<0.001). 불면증이 있는 2형 당뇨병 환자군은 불면증이 없는 2형 당뇨병 환자군보다 ISI-K 검사상 합계(18.38±2.69점), A1 (입면)(2.97±0.76점), A2 (수면유지)(3.06±0.69점), A3 (일찍 깸)(2.76±0.61점), B (수면만족도)(3.18±0.72점), C (수면장애로 인한 기능방해)(2.09±0.97점), D (남이 알아차림)(2.12±1.09점), E (수면장애에 대한 걱정)(2.21±0.81점) 등 모든 항목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나이는 ISI-K A3 항목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고(β= -0.241, p<0.05), K-HDRS 총점은 ISI-K 모든 항목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각각 p<0.05), 총수면시간은 ISI-K 모든 항목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5). 수면잠복기는 ISI-K 합계, A1, B, E 항목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5).
    결 론: 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3에서 불면증이 존재하며, 불면증이 없는 2형 당뇨병 환자군과 수면의 양적 및 질적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우울증상의 심각도는 2형 당뇨병 환자의 불면증과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우울증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Many of th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re associated with sleep problems, and the rate of insomnia is known to be higher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know the frequency and clnical characteristics of insomnia, and related variables to insomnia in patients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Methods:For 99 patients from 18 to 80 years of age (65 males and 34 females) with type 2 diabetes, interviews were performed. Total sleep time and sleep latency was evaluated. Insomnia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ISI-K).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were evalu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Scale (K-HDRM). According to the cutoff score of 15.5 on the ISI-K,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of type 2 diabetics with insomnia (N=34) and those without insomnia (N= 65) at first, and then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TInsomnia could be found in 34.34% of type 2 diabetics. Type 2 diabetics with insomnia had significantly more single or divorced (respectively 11.8%, p<0.05), higher total scores of the K-HDRS (11.76±5.52, p< 0.001), shorter total sleep time (5.35±2.00 hours, p<0.001), and longer sleep latency (50.29±33.80 minutes, p< 0.001). The all item scores of the ISI-K in type 2 diabetics with insomni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ype 2 diabetics without insomnia, that is, total (18.38±2.69), A1 (Initial insomnia) (2.97±0.76), A2 (Middle insomnia) (3.06±0.69), A3 (Terminal insomnia) (2.76±0.61), B (Satisfaction) (3.18±0.72), C (Interference) (2.09±0.97), D (Noticeability) (2.12±1.09) and E (Distress) (2.21±0.81) (respectively p<0.001). Variables associated with insomnia in type 2 diabetics were as following. Age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3 items of the ISI-K (β=-0.241, p<0.05). Total scores of the K-HDR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ile total sleep time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items of the ISI-K (respectively p<0.05). Sleep latenc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A1, B and E item scores of the ISI-K (respectively p<0.05).
    Conclusions:Insomnia was found in about 1/3 of type 2 diabetic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insomnia,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leep quality as well as quantity seemed to be different. Because depression seemed to be correlated with insomnia, clinicians should pay attention to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of depression among type 2 diabe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신신체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