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당뇨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Diabetes Mellitus Management of Older Adult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09.12
12P 미리보기
당뇨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4권 / 6호 / 734 ~ 745페이지
    · 저자명 : 강현주, 신은미, 김경원

    초록

    경기도 소재 보건소에 있는 당뇨병 환자 38명(남 11명, 여 27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소책자를 이용하여, 총 4회에걸쳐 매회 40분간 당뇨병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 전후에 신체계측, 혈당, 설문(영양지식, 식행동)을 실시하였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67세로 그 중 남자는 69세, 여자는 66세로, 한달 평균 용돈은 여자가 더 많았고, 교육정도는초등학교 이하의 학력을 가진 대상자가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는 가족과 함께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자신의 생활형편에 대해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스스로의 건강상태 인지 정도는 ‘매우 좋다’ 또는 ‘좋다’고 응답한 경우는 ‘매우 나쁘다’ 또는 ‘나쁘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나 조사 대상자의 대다수가 자신의 건강에 대해비교적 보통이하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육 전후의 신체계측치와 혈당변화에 대한 결과, 공복시 혈당은 교육 전 126.4 mg/dL, 교육 후 112.9 mg/dL로많은 감소를 보이는 듯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대상자들의 체중과 BMI는 교육 전후의 차이를 보이지않았으나, 체지방률은 남자의 경우, 교육 전후 각각 25.5%, 24.3%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p < 0.05), 여자 또한 교육 전후 각각 31.7%, 30.7%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p < 0.001) 비교적 바람직한 결과를 보였다.
    4. 영양지식의 교육 전후 영양지식총점을 살펴보면, 교육전 16.7점, 교육 후 17.8점으로 영양교육 결과에 따른 영양지식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 < 0.001).
    5. 식행동의 교육 전후 전체 식행동에 관한 총점의 변화는교육 전 47.0점, 교육 후 49.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p < 0.05) 영양교육을 통하여 바람직한 식행동으로의 변화가능성을 보여주었다.
    6.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한 대상자들의 식품 섭취량은 교육 전의 하루 섭취열량은 1315.5 kcal에서 교육 후에1331.2 kcal로 증가하였으나, % EER은 교육전후 각각74.8%, 75.7%로 섭취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전후 비타민과 무기질에 대한 교육전후 %RI의 변화를 살펴보면, 단백질, 칼슘,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나트륨의 섭취량은증가하였으나, 철분, 비타민 A, 티아민, 비타민 C는 감소하였고, 특히 비타민 C에서는 교육 전후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p < 0.05), 콜레스테롤은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 < 0.001). 열량을 보정한 INQ(index of nutritional quality) 수치로 살펴보면, 교육 후 리보플라빈, 비타민 C를제외한 다른 영양소들은 INQ 수치가 1을 넘어 비교적 식사의 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과 영양에 관한 교육을실시할 경우, 노인에게 적합한 글씨크기와 글씨체, 대상에 맞게 고안된 캐릭터나 그림 및 사진들로 구성된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교육했을 때 영양지식 및 식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교육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지역사회에서노인대상의 당뇨병 관리를 위하여 단기간의 건강증진 프로그램보다는 지속적이면서도 반복적인 교육과 관리가 진행된다면 당뇨병 예방 및 기존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을 사전에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Diabetes mellitus is the prevalent disease among older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nd evaluate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aged 60 and over. The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program effectivenes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was carried out at the public healthy center in Guri city. The 38 out of 63 patients completed education program. They received four sessions of group education during four weeks.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booklet, leaflet) for older adults were provided to participants. Data about blood glucose, blood pressure, nutrition and diabetes mellitus knowledge,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 by 24-hour recall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to evaluate the program effectiveness.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AS package (ver.8.2)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evaluated by paired t-test. Study results showed that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were slightly de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but they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The total score of nutrition and diabetes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and the total score of dietary behavior was improved (p < 0.05) after nutrition education.
    Dietary intakes of most of nutrients examine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test. Based on study results, it appears tha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aged diabetes mellitus patients might effectively increas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diet quality. Thi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or senior centers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for older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6) : 734~745, 200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