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19.07.06
- 최종 저작일
- 2017.02
- 5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의
Ⅱ. 문헌고찰
1. 시험관아기 시술 교육 - 환자 교육의 중요성
2.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 교육
3. 소책자를 이용한 교육
4. 소책자와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2. 연구방법
3. 연구의 윤리적 확보
4. 연구도구
1) 교육동영상과 소책자 -체외수정 시술안내(시험관아기)
2) 시험관아기 시술관련 Q&A
5. 조사도구 (설문지 구성)
1) 교육 자료를 기반으로 지식측정 문항 구성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 교육 자료에 대한 만족도
6.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2. 교육자료 선택과 본 횟수
3. 지식정도 문항별 정답률
4. 교육만족도의 내적 일치도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수준과 교육만족도 차이
6. 교육자료 제공 후 지식수준과 교육만족도 차이
7. 교육만족도와 지식수준 (상관분석)
8. 교육만족도와 지식수준 (회귀분석)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 고 문 헌
부 록
본문내용
난임 또는 불임이란, 피임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함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에 이르지 못한 경우를 말한다. 전 세계적으로 난임 부부는 결혼한 부부의 10~15%에 달하고(Edmundetal,1988), 영국에서는 7쌍 중에 1쌍이, 일본은 10쌍 중 1쌍이 난임 부부로 추산되고 있다.(이서영, 2013). 우리나라도 기혼여성의 난임 경험률이 2012년도 32.3%로, 2009년 26.3%에 비하여 6.1%가 상승한 것으로 김승권 등(2012a)이 보고한 것처럼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오민아, 2014)
최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in vitro fertilization - embryo transfer, IVF-ET; 시험관 아기). 접합자 난관내이식,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 보조부화술 등 많은 최신 기법들이 불임 치료를 위하여 개발되었다.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11) 체외수정은 자연적인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배란유도법, 인공수정 다음으로 임신시도의 마지막 단계이며, 연령에 따라 성공률은 차이가 있다. (윤태기 외, 2007).
이러한 체외수정의 시술과정은 의사의 진료처방에 따라 정해진 시간 안에 주사를 맞아야 하고 약을 복용하며 병원을 방문하여 배란 여부와 난포의 성장을 확인하여야만 한다. 또한, 난포 성장의 여부에 따라 난자를 채취하고 수정란을 배양하는 과정에서 성숙 수정란을 이식한다.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진행하는 동안 호르몬 제제의 반응은 개인차에 따라 우울, 두통, 복수 참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이를 잘 보살피기 위해서는 상담 및 교육 등의 관리가 필요하고 이는 임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2004,강희선, 김민종) Park,1993; Sandlowski & Pollok, 1986; Yi 등(2001)은 시험관 아기 시술이 과연 성공할 것인지에 대해 불확실하게 여기고 있었는데 이는 치료과정에서 왜 하는지, 언제 하는지, 해도 되는지에 대해 확실한 정보가 없어 스트레스를 받을 뿐만 아니라 치료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