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합병원 병동부 개선을 위한 건축계획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the Ward Improvement in General Hospital)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6.12
8P 미리보기
종합병원 병동부 개선을 위한 건축계획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18권 / 6호 / 85 ~ 92페이지
    · 저자명 : 변재형, 문창호

    초록

    본 연구는 종합병원 병동부에서 기능 공간별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건축계획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병동부를 대상으로 환자 전용 공간, 간호 전용 공간, 공용 공간으로 분류하고, 조사 대상병원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론으로 주요사항을 용약하면 다음과 같다: 간호단위당 병상수는 35병상 내외로 제안. 간호대기소는 병실군의 중앙에 배치. 소인병실의 비율은 30%이상 확보 및 다인병실은 4인실 이내. 병실의 모듈은 다인실 6.6m*6.6m, 소인실 3.3m*3.3m로 제안. 화장실은 모든 병실 내부에 설치. 간호부속실은 적절한 규모로 청결과 오염으로 구분. 엘리베이터는 환자의 편의를 고려하고 15병상당 1대 이상 설치. 공용화장실은 방문객과 병실 화장실 고장시를 대비하여 설치.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uture planning directions through the derivation of improving way by functional spaces in hospital ward. Research method includes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functional spaces for the patients, the nurses, and the public of selected hospitals. The sample hospitals are consisted of 3 local hospitals, 2 recent hospitals in Korea, and 2 recent hospitals in Japan. Some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Around 35 beds are suggested as the number of beds per nursing unit considering the nursing trend and comprehensive nursing care. Nurses’ station should be located in the center of nursing unit for the consideration of nurses’ observation and travel distance. Small number bedroom(1-3 bedroom) may share more than 30% in total and maximum bedroom may not exceed 4 bedroom in the light of patient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fection prevention. Module for bedroom may be at least 6.6m*6.6m for multi-bedroom and 3.3m*6.6m for private/semi-private bedroom. For area per bed, small number bedroom may exceed 10㎡ and large number bedroom may exceed 15㎡. Bathroom should be attached to the all bedrooms for patients’ convenience and privacy. Ancillary rooms for nursing unit must be appropriate in size and separated by clean and dirty zone. Public toilet is necessary for the visitors and the case of bathroom breakdown in patient ro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