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병(兵)의 징계제도 개선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ilitary Disciplinary System for the Enlisted Soldier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23.12
24P 미리보기
병(兵)의 징계제도 개선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3권 / 4호 / 123 ~ 146페이지
    · 저자명 : 민병후

    초록

    ‘영창제도’는 1896년 칙령 제11호 ‘육군징벌령’을 그 시초로 하며, 1962년 군인사법 제정 시에도 규정되었다. 도입 후 영창제도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문제제기가 있었으며, 군은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제도를 도입하였다. 영창제도에 대한 문제는 2020년 2월 4일 군인사법 개정으로 영창제도가 폐지됨으로써 해소되었다. 2020년 개정으로 영창제도의 문제점을 해소되었으나 병의 징계제도에 대한 한계점과 효과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병의 징계제도에 대한 한계점과 효과성에 대한 개선을 위하여 병의 징계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병의 징계제도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살펴본 후, 현행 제도의 내용과 징계처분 상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운영현황을 검토하여 병 징계의 효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1896년 육군징벌령 제정을 시작으로 병(兵) 징계제도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현행 제도의 기원과 변화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영창제도의 폐지와 군기교육, 감봉, 견책의 신설 등을 포함한 2020년 군인사법 개정 이후의 현행 병사 징계제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병 징계에 대한 각종 징계현황과 자료를 기초로 징계 종류의 다양화, 징계의 효과성 및 인권 보호 강화를 위한 방안, 복무일수 가산, 중근신과 경근신의 구분 도입, 감봉 금액의 조정, 휴가단축 처분의 명확화, 인권담당 군법무관에 의한 적법성 심사의 확대 등의 방안과 강등 처분의 활용 및 확대, 감봉제도의 효과성 저하 문제와 개선방안, 휴가단축 처분의 불명확성, 적법성 심사의 한계 등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병사들에게 공정하고 인권을 존중하는 징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병의 징계제도는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을 통해 인권을 보호하고 징계의 효과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disciplinary system for soldiers in the military, known as the ‘record system,’ has its origins in the Royal Decree No. 11 of 1896, titled ‘Army Punishment Decree’. This system was formally established with the enactment of the Military Personnel Management Act in 1962. Since then, there have been ongoing challenges and criticisms related to the military service system, leading to several reforms aimed at improvement. A significant change occurred on February 4, 2020, with the revision of the Military Personnel Management Act, which notably included the abolition of the military honors system. This revision addressed longstanding issues with the military honor system but also raised questions about the limitations and effectiveness of the disciplinary system for soldiers.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urrent disciplinary system within the military and suggest measures for its improvement, focusing on enhancing both its limitations and effectiveness. The paper approaches this goal by examin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outh Korea’s military disciplinary system, assessing the content and issues of the current system, and proposing plan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disciplinary actions for soldiers. The paper first analyz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ilitary disciplinary system. It begins with the Army Punishment Ordinance of 1896, exploring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the current system. This historical perspective serves as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and proposing the diversification of disciplinary measures. The current state of the soldier disciplinary system, following the 2020 revision of the Military Justice Act, is examined. This revision marked the abolition of the military service system and introduced new measures like military discipline training, salary reductions, and reprimands. Despite these changes aligning with contemporary needs and human rights considerations, limitations persist in the types and procedures of disciplinary actions. Based on various data and the current status of disciplinary actions for soldiers,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disciplinary system are proposed. These include measures to diversify types of disciplinary actions, enhance their effectiveness, and protect human rights. Notable suggestions include adding service days, differentiating between medium and light service, adjusting the amount of pay reduction, clarifying the shortening of vacations, and expanding the legal review by military legal officers specializing in human rights. Additionally, the paper presents improvement plans for the utilization and expansion of demotion penalties, addressing the reduced effectiveness of the salary reduction system, measures for clarity in vacation shortening, and addressing limitations in legal reviews. The disciplinary system for soldiers must continuously evolve to protect human rights and ensure the effectiveness of disciplinary actions. This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disciplinary environment that is fair and respects the human rights of soldiers, who carry out their national defense du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