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들잔디와 금잔디 수집종의 지역별 적응성 및 봉분 실증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Ecotypes at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and Grave Mound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9.09
12P 미리보기
들잔디와 금잔디 수집종의 지역별 적응성 및 봉분 실증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잔디학회
    · 수록지 정보 : Weed & Turfgrass Science / 8권 / 3호 / 267 ~ 278페이지
    · 저자명 : 장석원, 성창현, 배은지, 구준학, 윤정호

    초록

    들잔디와 금잔디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한국잔디이다. 들잔디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사용되지만, 내한성이 약한 금잔디는 남부 지방에 제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금잔디는 세엽, 높은 밀도, 우수한 질감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금잔디의 묘지 잔디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지에서 수집한 들잔디 10 계통과 들잔디 18 계통을 3개 지역(경기 양주, 충북 음성, 경남 남해)에서 2014년-2015년 중에 월동 후 생존율과 그린업 시기를 조사하였다. 또한 2017년-2018년에는 금잔디 1계통과 중엽 들잔디 1품종 밀록 을 경남 합천에서 실제 조성한 가상의 봉분에 피복하여 묘지 잔디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들잔디는 모든 평가 지역에서 월동 후 생존하였으나, 금잔디는 양주, 음성, 남해에서 각각 38.9, 83.3, 88.9%의 개체가 월동하였다. 들잔디와 금잔디 봉분에서는 모두 5월 줄떼 식재 후 9월 추석 전 벌초까지 90% 이상이 피복되어 두 종 사이에는 피복 속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들잔디와 금잔디의 월동 후 생존율은 각각 80%와 28%로 큰 차이를 보였다. 들잔디는 봉분의 북쪽 방향에서 동해를 입었으나, 금잔디는 북쪽과 서쪽 방향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봉분에서의 그린업은 들잔디가 금잔디보다 빨랐으며, 봉분의 남쪽>동쪽>서쪽>북쪽 방향 순서로 진행되었다. 동계 기간 중 묘지의 토양 온도와 수분은 남쪽>동쪽>서쪽>북쪽 순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영어초록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are native turfgrass in Korea. Z. japonica is used throughout the country, but Z. matrella is weak in the cold climate and restricted to the southern areas. Z. matrella has a lot of advantages such as fine leaves, high density and excellent texture, so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for various purpo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verwintering survival of the Z. japonica 10 and Z. matrella 18 ecotypes collected from across the country in Yangju, Eumseong, and Namhae areas from 2014 to 2015. Each of the two species was also selected and compared with the adaptability as grave covering grass in virtual grave mounds of actual size in Hapcheon, Gyeongnam province from 2017 to 2018. All of Z. japonica ecotypes overwintered in three areas, but 38.9, 83.3, and 88.9% of Z. matrella ecotypes in the Yangju, Eumseong, and Namhae areas survived through winter, respectively. The strip-sodded graves with two species were established in May 2017. In both Z. japonica and Z. matrella graves, ground-coverages were over 90% by Korean thanksgiving day’ mowing (Beolcho),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pecies in coverage rates. Survival rates of grave-cover plants of Z. japonica and Z. matrella in the following year with over-wintering were 80% and 28%, respectively. Z. japonica suffered damage in the northern slopes of the grave, but Z. matrella plants suffered with great damage in the northern and western slopes. In green-up timing, Z. japonica was faster than Z. matrella, and the slope of the grave proceeded in the order of south>east>west>north. During the winter season, soil temperatures and moisture in the grave remained low in the order of south>east>west>north slop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Weed & Turfgrass Scienc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