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중자망에 의한 동해 심해 수산자원의 망목별 어획특성 (Fishing investigation with trammel nets by mesh size in the Korean deep-water of the East Sea)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3.02
17P 미리보기
삼중자망에 의한 동해 심해 수산자원의 망목별 어획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수산해양기술연구 / 49권 / 1호 / 1 ~ 17페이지
    · 저자명 : 박해훈

    초록

    망목크기가 다른 7종의 삼중자망 어구를 사용하여 동해와 양양 인근의 심해 해역에서 민간어선을 이용하여 2006~2007년에 200~1,200m 수심에서 수산자원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한 삼중자망 (내망)의 망목크기는 6.1~24.2cm였고, 그물코크기 15.2, 10.6, 24.2cm에서 어획량이 많았다. 이 중에서 어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75%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갑각류 (23%), 연체류 (2%) 순이었다. 전체 어획물 중 꼼치가 32%로 가장 많이 어획되었으며, 꼼치의 그물코 크기에 따른 어획량은 망목크기 10.6cm와 15.2cm에서 많았다. 이들 망목에서의 주 어획종은 꼼치, 분홍꼼치, 붉은대게, 주먹물수배기, 대구 등이었으며, 망목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21.2cm와 24.2cm에서 많이 어획된 어종은 꼼치, 붉은대게, 대게, 너도대게, 분홍꼼치 등이었다. 내망의 망목크기가 커질 때 망목의 어느 범위 내에서 주요 어획종인 꼼치, 고무꺽정이, 주먹물수배기, 대게, 붉은대게의 큰 개체가 큰 망목에서 어획되었다.
    동해와 양양 해역에서 200~1,200m 수심 범위에서 상대적으로 깊은 곳에서의 주 어획종은 꼼치, 붉은대게, 분홍꼼치, 고무꺽정이, 주먹물수배기, 벌레문치, 너도대게, 대구 등이었고,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에서 주 어획종은 대게, 꼼치, 고무걱정이, 대구, 기름가자미, 벌레문치, 주먹물수배기 등이었다. 동해 해역에서는 수심 1,000m에서 가잠 많이 어획되었는데 분홍꼼치, 붉은대게, 고무꺽정이, 주먹물수배기 4종이 이 수심 어획량의 98%를 차지하였다. 양양 해역에서는 수심 1,200m에서 가장 많이 어획되었는데, 꼼치, 붉은대게, 주먹물수배기, 분홍꼼치, 갈고리흰오징어 5종이 이 수심 어획량의 95%를 차지하였다. 대게와 붉은대게의 분포는 동해 해역에서는 400m 이천 수심에서 대게가 많이 어획되었고, 붉은대게는 600m 이심 수심에서 많이 어획되었으나, 양양 해역에서는 동해 해역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은 수심에 분포하였다. 가장 다양한 어종이 어획된 망목크기는 2006년과 2007년 모두 7.6cm와 9.1cm의 망목크기에서였다. 망목크기별 어체의 평균 크기에 대해서는 꼼치, 고무꺽정이, 주먹물수배기, 대구, 대게, 붉은대게, 너도대게는 망목크기가 커질 때 어획된 어체의 평균크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벌레문치의 평균 어체크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산자원 조사시 저질이 평탄한 곳에서 대형 트롤어구를 사용하면 효과는 크겠지만 그 사용 경비는 매우 많이 든다. 이에 비해 삼중자망이나 통발을 이용하면 소형 어선으로 저질이 거친 곳에서도 조사가 가능하고 경비도 적게 드는 잇점이 있으나, 삼중자망은 망목크기가 채집할 수 있는 어획물의 크기에 영향을 주므로 수산자원 조사시 여러 가지 망목크기로 구성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investigation for species composition and catch in the Korean deep-water of the East Sea (also known as Sea of Japan) was carried out with trammel nets of 7 mesh sizes (6.1~24.2cm) offshore Donghae (2006) and Yangyang (2007) of Korea. The catches were 1,268kg and composed of 37 species between 200m and 1,200m in depth. The principal species caught were Taknka's snailfish, salmon snailfish, red snow crab, hunchback sculpin, snow crab, spinyhead sculpin, Tanaka's eelpout, Alaska cod and so on. Those were target fish for commercial value except salmon snailfish. The mesh sizes for the largest catch were 10.6cm and 15.2cm in the fishing ground of Donghae and Yangyang, respectively. The habitat of snow crab was shallower than that of red snow crab in both areas. Trammel net enabled to investigate fish in deep-water with small fishing vessel and rather cheap expenses in contrast to bottom trawl that required too much of it. With increasing inner mesh size of trammel net the mean size of some principal species such as Taknka's snailfish, spinyhead sculpin, hunchback sculpin, Pacific cod, snow crab, red snow crab and hybrid between snow crab and red snow crab tended to be large in certain range of mesh siz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