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학능력시험으로 본 학업성취 불균등과 요인별 기여율 (Decomposing the Fa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Inequalities : A Case of Scholastic Achievement Test in Korea)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08.09
21P 미리보기
수학능력시험으로 본 학업성취 불균등과 요인별 기여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제통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연구 / 26권 / 3호 / 25 ~ 45페이지
    · 저자명 : 안병철

    초록

    학업성취 격차는 개인적 요인은 물론 주변의 환경적 요인과 관련되어 있는 복합적 현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 불균등 크기를 측정하고, 요인별 기여율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4년도 한국고용패널 자료에서 추출한 2,041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학능력시험성적(언어, 수리, 외국어)의 총 불균등, 학생의 개별적인 특성으로 설명 가능한 불균등의 크기를 추정하였다. 또한 학업성취와 관련이 있는 개인의 행동특성, 가정환경 요인, 학교의 특성이나 사회적 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기여율은 분해하였다. 총 불균등은 지니계수로 측정하였으며, 총 불균등을 요소별 기여율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집중지수를 활용하였다.
    총 학업성취 불균등의 크기는 영역별로 0.360~0.381(전체), 0.306~0.316(인문계)로 추정되었으며, 설명 가능한 총 불균등은 0.196~0.241(전체), 0.135~0.142(인문계)로 나타났다. 총 불균등은 외국어 영역이 가장 크고, 수리 영역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학교유형의 기여율이 가장 큰 비중(22.6%~37.1%)을 차지하였으나, 인문계만 대상으로 할 경우,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가장 비중이 크고(17.8%~31.5%), 공부시간 및 독서량의 비중은 27.2%~51.2%를 차지하였다. 소득수준(2.1%~8.6%)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사교육의 기여율은 언어와 외국어 영역에서 낮게 평가되었으나 (2.7%~5.5%), 수리영역에서는 높은 기여율(20.4%)을 보이고 있다.
    학업성취 불균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사회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과 함께, 개인의 행동변화를 유발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영어초록

    There are growing concerns for widening socio-economic related inequalities in academic achievement. The main arguments on inequalities are related with the perception that income causes inequalities through private education.
    We analyzed the scholastic achievement test (SAT) scores of 2,041 students from the 1st wave of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We estimated the size of total inequalities by Gini coefficients for three selected fields: language, mathematics and foreign language. Explainable inequalities, estimated based on linear model, were decomposed for each student's characteristics.
    Total inequalities were between 0.360~0.381(all) and 0.306~0.316(academic high school). Explainable inequalities were between 0.196~0.241(all) and 0.135~0.142(academic high school). In terms of factor-wise contribution, school typ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ccounted for 22.6%~37.1% of total inequalities. When considered academic high school only, the length of self-study hou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ccounted for 17.8%~31.5% of total inequalities. Combined effect of the length of self-study and reading reached 27.2%~51.2% of total inequalities. However, the importance of per capita income (2.1%~8.6%) was small in contrast with social perception. Private education accounted for small fraction of inequalities in language (5.5%) and foreign language (2.7%), but 20.4% of inequality in math.
    In order for lessening inequalities in academic achievements, it appeared necessary to pursue behavioral change in addition to conventional sociological approach for socially disadvantaged grou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