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애주기 및 장애정도별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Promotional Plans of the Disabled Sport for all by Life Cycle and Levels of Disabilitie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9.09
16P 미리보기
생애주기 및 장애정도별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특수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27권 / 3호 / 127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권일, 김인애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 현황을 파악하여 생애주기 및 장애정도에 따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장애인실태조사 결과 자료의 6,549명 중 만 7세 이상 등록장애인 6,397명을 장애유형으로 구분한 뒤 생애주기 및 장애정도에 따라 생활체육 참여 현황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학생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으로 장애학생의 일상생활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장애학생 생활체육 프로그램 보급, 장애학생 이동권 보장, 체육시설 홍보로 도출되었다. 둘째, 청장년층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으로 직장 장애인 운동프로그램 확대, 장애인 스포츠클럽 활성화, 공공체육시설 장애인 우선사용 및 배려공간 추진, 시각장애인용 체육 용기구 배치, 수화통역사 배치로 도출되었다. 셋째, 장애노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으로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제공, 장애노인 체력평가 도구 및 프로그램 개발, 스포츠강좌이용권의 대상 확대, 국공립 병원 내 재활운동 및 체육센터 설립, 장애노인 전문 지도자 배치를 도출되었다. 넷째, 중증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으로 중증장애인 체육 종목 및 프로그램 개발·보급, 중증장애인이 체육시설 접근성 강화, 중증장애인 스포츠지도자 역량 강화 교육으로 도출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sports for all and promote them. For this, 6,397 registered disabled people aged over 7 out of the 6,549 disabled people in the result data of the Disabled a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isability type, and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ir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based on the life cycle and disability level. In order to develop measures to promote lifestyle sports, an expert meeting was hel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daily living skills for self-reliance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provide programs that can be participated easily at any time and anywhere such as free gymnastics and stretching. Also, it is required to guarantee mobility rights and publicize sports facilitie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hearing impairment as well as to strengthen the skills of instructors for severe disabilities such as understanding of medical information. Second, For young and mid-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sports programs for the disabled at work and promote use of gyms.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provide priority use and special spa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t sports facilitie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have tactile court lines or shock absorbing cushion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hire sign language interpreters for hearing-impaired people, and promote sports facilities. Thirds, For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xercise programs with a variety of difficulty levels, develop fitness evaluation tools and programs, and expand the eligibility for sports course vouchers. It is also needed to establish rehabilitation and sports centers in national and public hospitals where instructors who have certificates in both adapted sport instruction and senior sports instruction provide services. Forth, Sports or programs that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can easily participate such as boccia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 of sports facilities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operate shuttle buses and renovate convenience facilities. For understanding of medical information,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of instructors of sports for all to enable smooth instruction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