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혼인 상태별 한국사회의 다차원적 젠더 이데올로기 지형 (Exploring Multidimensional Gender Ideology of Korean Society by Marital Status)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21.12
49P 미리보기
혼인 상태별 한국사회의 다차원적 젠더 이데올로기 지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족과 문화 / 33권 / 4호 / 81 ~ 129페이지
    · 저자명 : 문지선

    초록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젠더 이데올로기의 다차원성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다섯 가지 젠더 규범을 반영한 성역할 태도 문항들을 모두 이용하여 잠재집단분석을했다. 한국사회의 젠더 이데올로기 지형은 기혼자의 경우 ‘일지향적 가족주의, 전통주의, 성평등주의’, 미혼자는 ‘성평등주의, 일지향적 가족주의, 전통주의’ 순으로 강하여, 미혼자가 상대적으로 더 성평등주의적 가치를 지향했다. 성별로도 보면, 기혼여성은 기혼남성보다 남성생계부양자 규범을 제외한 젠더 규범들의 수용률이 높았지만, 미혼여성이 미혼남성보다 더 젠더규범에 순응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일지향적 가족주의’는 여성이강했고, ‘성평등주의’는 남성생계부양자 규범에 순응하는 남성에 의해 내부에서 ‘유연한 성평등주의’가 출현할 가능성이 있을 정도로 불안정했다. 이는 성평등주의의 분화가 여성의 육아역할과 일ㆍ가정 갈등 외에도, 남성의 생계부양 역할을 유지하려는 전통적 태도와 관련된 것임을 의미한다. 이렇듯 한국사회에서 젠더 이데올로기의 다차원성은 ‘여성 주도의 일지향적가족주의와 남성 주도의 유연한 성평등주의’라는 성평등주의의 분화에서 비롯됐다.
    젠더 이데올로기 유형별 특성을 보면, 기혼자의 경우 고학력 고소득 가구의 기혼자가 성평등주의를, 저학력 저소득 가구의 기혼자는 전통주의를 지향했고, 정규직도 비취업자보다 더성평등적인 성향을 보였다. 또 남편 대비 여성의 상대소득이 높은 여성생계부양자 가구와 맞벌이 가구 등이 남성생계부양자 가구보다 더 성평등적인 부부일 확률이 높았다. 따라서 여성이 정규직이고 남편에 대한 경제적 의존성이 약할수록 부부가 함께 성평등주의를 지향할 가능성이 커서, 성평등한 사회로의 이행을 위해서라도 여성에게 정규직같이 고용이 안정되고가계경제를 이끌 정도의 소득이 보장된 일자리를 보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미혼자를 중심으로 20~30대 청년층이 성평등주의를 지향한 만큼, 청년층의 페미니즘 교육을 체계화하여 이들이 자율성과 합리적 선택으로 포장된 적응과 타협에 흔들리지 않고 본연의 성평등주의 성향이 강화되게끔 돕는 대책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Using latent class analysis on the respondents by the marital status to the five gender role norms: ‘women’s family care norms’, ‘women’s childcare norms’, ‘women’s housewife identity norms’, ‘male-breadwinner norms’, and ‘dual earner norms’, this article shows the gender ideology of Korean society is composed of ‘pro-work familialism’, ‘egalitarianism’, and ‘traditionalism’ for both married and unmarried people. Although ‘pro-work familialism’ exists centered on wom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ithin ‘egalitarianism’ a new gender ideology called ‘flexible egalitarianism’ can emerge by men who accepts the ‘male-breadwinner norms’. This suggests that the diversification of egalitarianism is not due to women’s parenting role and work-family conflict, but rather from the attitude of accepting men’s traditional role. As such, the multidimensionality of gender ideology in Korean society is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egalitarianism like 'flexible egalitarianism’, in addition to ‘pro-work familialism’. In the case of married people, high-educated, high-income households tends to be supportive of egalitarianism, and low-educated, low-income households tends to traditionalists. And regular workers show more egalitarianism in comparison to the unemployed. In addition, female-breadwinner households and dual earner households and so on, where women’s relative income is higher than that of husbands, are more likely to be gender equal couples than male-breadwinner households.
    Therefore, the more women are regular workers and the weaker their economic dependence on their husbands, the more likely couples are to pursue egalitarianism, so for the gender equality it is important to provide women with jobs, such as regular position that can be possible stable employment and income enough to lead the household economy. In the case of the unmarried, as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re particularly oriented toward egalitarianism, it is required to help them by systematizing the feminist education to strengthen their gender egalitarian tendencies without being swayed by adaptation and compromi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족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