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율적 오피스의 업무환경별 조닝(Zoning) 방안 연구 (A Study on Office Zoning of Autonomous Offices by Working Environment)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8.02
14P 미리보기
자율적 오피스의 업무환경별 조닝(Zoning) 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1호 / 57 ~ 70페이지
    · 저자명 : 임도형, 이재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인에게 오피스 라이프란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는 업무효율 저하로 이어져 생산성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낳는다. 이에 많은 기업들은 직원들의 업무효율 증대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복지를 제공하고 있으나 별다른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최근 해외의 신규 기업들은 기존의 복지 체제에서 나아가 직원들에게 물리적 업무환경 선택에 자율성을 주는 경영체제를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자율성과 업무효율 증대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자율적 오피스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 후, 이를 지원하기 위한 기본적 조닝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이는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다수 기업들이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오피스 라이프 개선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자율성과 업무효율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자율적 오피스가 행해지고 있는 5개의 오피스 평면을 분석하여 자율적 오피스의 조닝 분류모델 정립을 위한 기초로 삼는다.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분류모델의 두 가지 축은 환경의 대비적 변화인 개방-집중의 축과 공간 사용의 주체인 개인-다수의 축을 중심으로 세운다. 이를 기준으로 개방-개인, 개방-다수, 집중-개인, 집중-다수의 4가지 조닝 유형을 제시하고 기존 오피스 계획 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조닝의 방법과 비교하여 각 유형의 실질적인 조닝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결과) 평면 사례 연구 결과 각 사례의 전체 평면을 4가지 조닝 유형으로 분류하여 적용 가능하였으나, 실제 공간의 환경 조사가 불가능하여 완전한 분류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4가지 조닝 유형 중 오피스 계획 시 필수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유형은 개방-개인 공간으로 개인 공간에 대한 보장성은 업무환경 만족도에 크게 기여하므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유형이었다. 또한 집중-개인 공간은 오피스 공간 구획 시 쉽게 간과될 수 있는 유형이나 개인이 선호하는 업무환경에 따라 조닝이 이루어지는 자율적 오피스 내에서는 필수적인 조닝 모델로 정리되었다. (결론) 자율적 오피스의 조닝 결과는 기존 우리가 일하고 있는 오피스의 조닝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결국 가장 중요한 건 업무효율과 생산성을 높이는 오피스를 위해서는 직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보장해주기 위한 기업의 노력이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앞으로 국내에도 이러한 자율적 오피스에 쉽게 접할 수 있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조닝 활용 방안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For In contemporary society, office life is an significant factor decreasing the quality of life. This results in a reduction in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onsequently, many companies provide a variety of welfare services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of their employees; however, these are relatively ineffective. Recently, in addition to the existing welfare measures, foreign companies have been introducing a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their employees with autonomy in selecting their physical work environment. In this study, I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autonomy and increased work efficiency by establishing a definition of autonomous office and examining basic zon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fundamental problem of office life improvement—which most domestic companies have been unable to solve despite their various efforts—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a solution. (Method) Firstly, the correlation between autonomy and work efficiency is examined. Secondly, five floor plans of autonomous offices are analyzed to establish a basic zoning classification model of autonomous offices. Based on the case analysis, the two axes of the classification model are centered on: the axis of open-concentration, which is the contrast of environment; and the axis of individual-many, which refers to the subject of space usage. Based on this, I propose four types of zoning, namely: open-individual, open-many, concentration-individual, concentration-many. I then suggest a practical method for each type of zoning compared with those commonly used in existing office planning. (Results) While it was possible to classify entire plans of each case into four zoning types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it was difficult to classify these perfectly due to the inability to search the real environments of companies. Among the four types of zoning, the type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office planning is open-individual space because the guarantee of personal space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satisfaction of the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individual space—which can be easily overlooked in the office—is organized as an essential zoning model within an autonomous office where zon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environment chosen by individual preference. (Conclusions) The zoning result of the autonomous office was not much different to what we are currently working with. Ultimately,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an office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s the company's efforts in giving employees autonomy. I hope that autonomous offices in Korea will be easily accessible in the future, an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