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령별 고령인구의 통행 특성을 고려한 공간 위계별 생활권 분석 - 충청북도 2016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Spatial Hierarchy Analyses of the Zone of Life Reflecting upon Trave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opulation - Focused on the 2016 Chungbuk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1.12
17P 미리보기
연령별 고령인구의 통행 특성을 고려한 공간 위계별 생활권 분석 - 충청북도 2016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시설계학회
    · 수록지 정보 : 도시설계 / 22권 / 6호 / 129 ~ 145페이지
    · 저자명 : 전병윤, 김규혁, 리우 시페이, 이만형

    초록

    이 연구는 2016년 기준 충청북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고령인구의 연령별 통행특성을 고려한 공간 위계별 생활권을 분석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연령대별로 초기고령인구(65~69세, 70~74세)와 후기고령인구(75세 이상)로 구분하여 통행목적ㆍ수단을 고려하고 커뮤니티 디텍션(Community Detection) 방법을 적용하여 공간위계별 생활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통근 목적 통행이 주를 이루었으며, 중생활권 범위에서 통행량이 가장 많았다. 또한, 공간 위계가 커질수록 초기고령자와 후기고령자 모두의 생활권 개수가 감소하였다. 둘째, 행정구역 경계와 관계없이, 65세~69세에 해당하는 고령인구의 경우에는 충주시(수안보면)와 제천시(한수면)가 동일한 생활권을 형성하고, 70 세~74세 해당하는 고령인구의 경우에는 청주시(북이면)와 증평군(증평읍)이 하나의 생활권을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75세 이상 고령인구의 경우에는 진천군(광혜원면)과 음성군(대소면)이같은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도시ㆍ지역계획 측면에서 고령친화형 공간계획을 수립할 때에 연령별 고령인구의 특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당위성이 존재한다.

    영어초록

    Applying the 2016 Chungbuk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spatial hierarchy of the zone of life reflecting upon trave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specific, dichotomizing the elderly population into the early elders (60~69 and 70~74) and the later elders (75 or more),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hierarchy of the zone of life matched with their travel types and locations, in addition to travel modes. Its main analytical tools are community detection approache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ainstream of the travel types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65 or more) comes from commuting purposes. The highest travel volume is recorded in the mid-zone of life. Furthermore, as spatial hierarchy rises to a higher level, the number of the zone of life is downsized. Secondly, regardless of the boundaries of the administrative area, the elderly aged 65 to 69 will form the same living area in Chungju (Suanbo-myeon) and Jecheon (Hansui-myeon). Similar trends are repeated in the early elder groups in Cheongju (Bukil-myeon) and Jeungpyeong-eup (Jeonpyeong-eup). The later elders in Jincheon-gun (Gwanghaewon-myeon) and Eumseong-gun (Daeso-myeon) also share the same living area. These results imply that trave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opulation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designing elderly-friendly spatial plan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