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대 정부별 언론정책과 매체 유형별 조정・중재 청구의 변화에 관한 연구: 언론중재위원회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Mediation Claims by Government and Media Types in the Past: Based on the dta of the Media Arbitration Committee)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1.08
41P 미리보기
역대 정부별 언론정책과 매체 유형별 조정・중재 청구의 변화에 관한 연구: 언론중재위원회 자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행정사학지 / 52권 / 52호 / 113 ~ 153페이지
    · 저자명 : 정종윤

    초록

    언론의 역할과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으나, 한국의 뉴스 신뢰도는 세계적으로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언론의 개선을 위한 정책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는 가운데 이명박 정부 이후에는 미디어 정책을 주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미디어 정책은 문화 및 콘텐츠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언론정책 연구는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언론정책 연구가 부재한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정부별 언론정책 변화와 매체 유형별 조정・중재 청구 건수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별 언론정책과 언론중재위원회에서 진행하는 언론조정・중재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언론중재위원회는 1981년에 설립되었다(언론중재위원회, 2011). 언론의 조정・중재 활동을 하고 있다. 활동치가 높을수록 분쟁과 매체활용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언론중재위원회에서는 2020년 조정・중재처리현황(1981년~2020년)을 공시하고 있다. 해당 자료에는 수치가 매체 유형별로 분류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정부별 언론정책 변화와 매체 유형별 분류 수치를 비교했다. 이를 통해 언론 패러다임 변화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전두환 정부와 노태우 정부 시기에는 강제해직과 통폐합 등 직접 통제 방안을 진행했다.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 시기에는 규범과 법을 통한 간접 통제 방안을 진행했다. 노무현 정부 시기에는 언론개혁을 위한 전자정부 도입 정책이 진행되었다.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시기에는 언론을 장악하기 위한 언론통제정책이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언론의 독립성과 공공성이 다시 후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재인 정부에 들어서면서 언론의 독립성을 위한 정책이 진행되고 있었다. 분석 결과 김대중 정부 시기까지는 언론통제정책으로 인해 일간신문 및 주간신문의 비율이 조정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시기부터는 통제정책과 회유정책의 관계없이 특정 매체에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언론의 조정・중재 데이터는 정보화 활성화 이후 정부별 언론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되지 않은 언론정책의 변화와 언론조정・중재 데이터를 분석했다는 의의가 있다. 오늘날 언론은 갈수록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언론정책을 다루는 연구는 원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향후 언론정책 연구가 활성화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영어초록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media are increasing, but Korea's news credibility is ranked low worldwide. Presented the need for Policy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ess, media after Lee Myung-bak government policy on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However, media policy is a concept that covers culture and content, and the reality is that media policy research is absent. In the absence of media policy research, this study compared changes in media policy by government and the number of coordination and arbitration claims by media type.
    In this study, government-specific media policies and media coordination and arbitration conducted by the Media Arbitration Committee were set up as subjects for the study. The Press Arbitration Committee was established in 1981 (Press Arbitration Committee, 2011). It is coordinating and mediating the media. The higher the activity, the higher the dispute and media utilization of the media. The Media Arbitration Committee (MBC) is announcing the status of mediation and arbitration processing between 1981 and 2020. The data included figures classified by media type. Through this, the government compared changes in media policy and classification figures by media type. Through this, changes in the media paradigm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analysis, during the Chun Doo-hwan administration and Roh Tae-woo administrations, the government conducted direct control measures such as forced dismissal and consolidation. Indirect control through the norms and the law in the Kim Yong-sam and Kim Dae-jung administration time to room. The introduction of e-government policy for the Roh Moo-hyun government, reforming the press.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governments time to dominated the news media blackout policy is going on. This confirmed that the independence and public nature of the media have retreated again. Moon Jae-in, on the government for the independence of media policy is being carried out. Kim Dae-jung government media controls by the time the percentage of daily newspapers and weekly newspapers due to policy analysis result was adjusted is identified. However, sinc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ime to concentrated in certain media, regardless of the policy can be found.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oordination and arbitration data of the media are not affected by the government's media policies after the information service acti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changes in media policy and media coordination and arbitration data that have not been studied before. Today the media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However, research on media policy is not going smoothly. I hope that media policy research will be activat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행정사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