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句麗 重裝騎兵의 特徵과 運用形態의 變化-古墳壁畵資料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Employment of Armored Cavalry of Koguryo)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8.12
50P 미리보기
高句麗 重裝騎兵의 特徵과 運用形態의 變化-古墳壁畵資料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52호 / 353 ~ 402페이지
    · 저자명 : 정동민

    초록

    본고에서는 고분벽화를 통해 고구려 重裝騎兵의 모습을 보다 세밀하게 살펴보고, 중장기병 모습 자체의 변화양상과 운용형태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4세기 초~중반 경, 고구려에 중장기병이 처음 도입되었을 때에는 전투시 적 대열의 측면 혹은 후면을 공격하는 등의 소극적인 참여에 그치거나, 호위병으로 운용되었다. 그러나 5세기 초~중반 경에 중장기병이 독립된 편대로 구성되면서 적의 정면을 향한 강력한 충돌작전을 펴는 전술로 변화하였다.
    한편 5세기 초∼중반부터 고구려의 武器․武裝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투구에서 기존의 縱長板冑와 彎曲縱長板冑 외에 小札冑가 새로이 등장하고, 小札로 이루어진 볼가리개 외에 細方形 철판으로 이루어진 볼가리개도 새로이 등장한다. 갑옷에 있어서도 기존의 세방형 철판을 이어붙인 頸甲 외에 방형소찰로 이루어진 頸甲이 나타난다. 그리고 기존의 상원하방형 소찰 외에 상부직선형 소찰로 이루어진 札甲이 등장한다. 馬甲에 있어서도 그 조립구성이 점점 세분화된다. 그리고 무기체계에서도 창 중심의 무기체계로 변화했는데, 위와 같은 변화들은 무기․무장의 기술적인 변화와 진보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투구의 뿔장식, 垂下飾, 馬冑의 三葉形 챙 등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군사지휘관의 위엄이나 권위를 상징한다고 추정되는데, 이를 토대로 군사조직의 체계화를 엿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양상들은 5세기 초~중반에 이루어진 중장기병의 기능확대과정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중장기병이 활성화됨에 따라, 무기․무장의 발전을 이루었고 군체계도 보다 조직화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When armored cavalry was first introduced in Koguryo, it was mere passive participation in attacking the side of or behind enemy rank in battles, or used as guard. However, in the early-to-middle period of 5th century, it could undertake strong encountering tactics towards the front of enemy constituting an independent assault suits formation.
    Meanwhile, since early 5th century, there were c`hanges detected in Koguryo weapons and armaments. In helmet, sochalju appeared newly in addition to the preexisting Jongjang panjoo and Mangok jongjang panjoo and in late 5the century, cheek covers made with thin square iron plate appeared newly. For the suit of armor, square neck protector(Gyeonggap) appears other than the existing thin squared one on which iron plates are put together. And the suits of amors with scales(Chalgap) using straight lined top metal scales appear in addition to circle top and square bottom one. Also, in horse suits of armor, the assembly composition is subdivided. The weapon system becomes lance-centered, and the above changes show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weapons and armaments
    Additionally, Sohasik and trefoiled visor in assault suits and horn ornament in helmet appear. This is assumed to symbolize military commander's dignity or authority and based on which we can see the systematization of military organization. All the changing phases seems to be related to the process of functional expansion of the assault suits. That is, as the assault suits are revitalized, weapons and armaments are developed and military structure is being systemat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