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百濟 절터 출토 壁畵片과 法隆寺 玉蟲廚子 (Mural Pieces from Baekje Temple Site and Tamamushizushi in Horyuj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4.11
30P 미리보기
百濟 절터 출토 壁畵片과 法隆寺 玉蟲廚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60호 / 241 ~ 270페이지
    · 저자명 : 한정호

    초록

    삼국시대 사찰의 벽화와 관련된 실물자료는 백제 절터에서 출토된 20여 점의 벽화편에 불과하다. 그 가운데 벽화의 내용을 추정할 수 있는 작품은 부여 부소산성 절터에서 출토된 새 그림이 유일하다. 그동안 무슨 새인지 알려지지 않았던 벽화편의 새는 분석 결과 비둘기를 묘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비둘기가 백제 사찰벽화에 그려질 수 있었던 근거로는 석가의 전생 이야기 가운데 하나인 시비왕본생담 도상의 일부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백제 절터에서 출토된 20여 점의 벽화편을 분석한 결과 백제 불전 내부의 벽화는 내용 면에서 불보살상 중심의 설법도형식의 벽화보다는 불전도나 본생도와 같은 불교설화도형식의 그림이 주로 그려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단편적인 자료에 불과하지만 백제불전의 벽화가 사신(捨身)을 주제로 한 설화도형식의 그림이 그려졌다는 사실은 주제 면에서 일본 호류지(法隆寺) 다마무시노즈시(玉蟲廚子)의 회화와 비교가 가능하다. 그동안 다마무시노즈시와 백제와의 연관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다만 회화의 내용은 북량(北涼)의 담무참(曇無讖)에 의해 한역된 경전들을 소의경전으로 그려졌다고 파악하여 중국 북조(北朝) 불교 교리가 반영된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다마무시노즈시 회화의 도상을 분석한 결과 각 장면마다 별개의 경전을 근거로 도해된 것이 아니라 모두『經律異相』을 전거(典據)로 그려진 것으로 밝혀졌다.
    『경율이상』은 516년에 남조의 양나라 무제(武帝)의 명에 따라 여러 불전에 등장하는 비유나 전생담 등 신비한 고사를 발췌하여 편찬한 책이다. 주지하다시피 백제는 양나라와의 교류를 통해 선진 불교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따라서 당시 양나라에서 편찬된『경율이상』도 당연히 백제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짐작되며. 이를 바탕으로 부소산성 절터 벽화편을 통해 확인된 시비왕본생도(尸毗王本生圖)와 같은 벽화가 제작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당시 활발했던 백제와 일본의 교류를 감안한다면 다마무시노즈시(玉蟲廚子) 회화의 도상은 남조의 불교문화를 수용하며 발전시켰던 백제 불교미술의 영향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Real tangible materials related to temple murals from Three Kingdom period are merely about 20 mural pieces from Baekje temple sites. Among them, the only work piece that the content of the mural can be assumed is new painting from the temple site of Buso mountain fortress of Buyeo. A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the species of the bird illustrated on the mural pieces that were not known before was revealed to be a dove. And it is interpreted that the basis in which the dove could have been illustrated on Baekje Temple murals is that it is a part of the icon of the King Sivi's Jataka which is one of the stories about previous life of Buddha. Based on such facts, as a result of analysis on about 20 mural pieces from Baekje temple sites, it was found out that in terms of their contents, the paintings in form of narrative Buddhist paintings such as the art of the Buddha`s life and Jataka paintings were mainly drawn rather than murals in the form of preaching Buddha paintings that are Buddha & Bodhisattva Statues centered.
    Although it is only a fragmentary data, the fact that the murals in Baekje temples were drawn in the form of narrative paintings with sacrifice as its main theme makes comparison possible with them and the paintings of Tamamushizushi in Horyuji, Japan. Until today there has been a lot of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Baekje and Tamamushizushi. However, it was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of the paintings reflected the Buddhist doctrine of Northern Dynasties in China since it was understood that the scriptures translated in Chinese by Dharmaksema of Northern Liang were drawn as Suo-yi Sutra. However,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icon of the Tamamushizushi paintings, it was found out that all of them were drawn based on 『Kyung Yul Ei Sang』, not based on individual sutra for each scene.
    『Kyung Yul Ei Sang』is a book that was compiled in 516 A.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Emperor Wu of Liang in Southern dynasties, by excerpting mysterious stories such as metaphors and tales of transmigration that appear in various Buddhist sutra. As it has been said before, Baekje actively adapted the advanced Buddhist culture through exchange with the Liang Dynasty. Therefore, 『Kyung Yul Ei Sang』that was complied in Liang Dynasty at that time is assumed to be introduced to Baekje, and murals, such as the Jataka paintings of King Bi that was confirmed through the mural pieces from temple sites in Buso mountain fortress, were produced. And considering active exchange between Baekje and Japan at that time, the icon of the Tamamushizushi paintings reflect the influence of Baekje Buddhist art that was developed by embracing Buddhist culture of Southern dynas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