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문인들의 벽 연구 ― 18세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Obsession of Literary Person in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18th Centu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04
30P 미리보기
조선조 문인들의 벽 연구 ― 18세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75호 / 61 ~ 90페이지
    · 저자명 : 서지원

    초록

    본고에서는 18세기 조선조 문인들이 추구했던 ‘벽(癖)’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벽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그 의미를 정리해 보았다. 벽이란 특정 사물이나 자연물 등에 몰입하거나 집착하는 현상으로 18세기 문인들 사이에서도 유행하였다. 당시 문인 지식인들의 벽에 대한 인식은 현대인이 기호나 취미 등으로 구분하는 것과 달리 복합적이다. 이 시기 벽에 대한 관점을 밝힌 인물로 윤행엄(尹行儼)⋅윤기(尹愭)⋅박제가(朴齊家)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사족(士族), 몰락양반(沒落兩班), 서얼(庶孽)이라는 신분상의 차이가 있지만, 문인으로서 벽을 향유하였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윤행엄의 경우 완물상지(玩物喪志)의 관점에서 벽을 경계할 것을 주장하였고, 윤기의 경우 보편적인 벽과 패가망신에 이르는 벽으로 구분하여 인식하였다. 박제가는 특정한 것에 몰입하거나 집착하는 벽의 가치에 주목하고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편, 18세기 문인들이 추구했던 벽은 보편성을 띠면서도 인물의 성향과 경제력 등에 따라 차별적으로 향유되었다. 개인적으로 사회의 모순을 지적하며 기록을 통해 의견을 표명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왕명을 띠고 연행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국적을 초월하여 우정을 나누고 연대하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물에 대한 벽을 집단적으로 공유하며 집단 지성의 결과물을 만들어낸 사례도 주목된다. 아울러 문화적으로는 벽을 향유하는 과정에서 외래문화를 수입하는 등 사치풍조를 조장한 면도 있지만, 자생하고 있는 문화를 발견하는 긍정적인 역할도 하였다. 이처럼 당시 문인 지식인들의 벽 추구는 성리학적 사고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경직된 분위기를 벗어나 다채로운 문화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looked at the ‘Obsession’ pursued by the literary persons in the 18th century Joseon Dynasty and also summarized the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of the Obsession and its meaning. Obsession is a phenomenon of being immersed in or obsessed with a specific object or natural object, etc., which was popular among literary persons in the 18th century. We can see that the perception of the Obsession by literary intellectuals at the time was complex, unlikely as the one being classified as taste or hobby by modern people. As the people who revealed their views on the Obsession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Yoon Haeng-eom(尹行儼), Yoon Ki(尹愭), and Park Je-ga(朴齊家).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social status such as a scholar-gentry(sajok), a fallen aristocrat and a concubines son, they had one thing in common in that they enjoyed the Obsession as literary men.
    In the case of Yun Haeng-eom, he insisted on being vigilant against the Obsession from the viewpoint of Wanmulsangji (meaning losing one's heart by falling into external things) and Yun, Ki recognized Obsession by dividing it into the universal Obsession and the Obsession leading to the shame of the family. Pak, Je-ga paid attention to the value of the Obsession, which is immersed in or obsessed with a specific thing, and actively defended it.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Obsession pursued by literary men in the 18th century was universally appreciated, it was also enjoyed discriminat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s inclination and economic power. Some expressed their opinions by pointing out social contradictions and recording them, while others formed friendships and solidarity by transcending nationality during the process of carrying out royal orders and performing duties. There are also noteworthy cases where a group shared the Obsession for a specific object, producing a result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terms of culture, while the pursuit of the Obsession led to the importation of foreign cultures and fostered a luxurious atmosphere, it also played a positive role in discovering indigenous cultures. Therefore, the pursuit of the Obsession by the literary intellectuals at the time was very significant in that they broke away from the rigid atmosphere that was not free from Confucian thoughts and spread diverse cultures,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cultural divers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