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秋史의 茶癖과 禪語활용의 審美 (The Aesthetic of Chusa’s Obsession with Tea and Use of Zen Word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0.08
26P 미리보기
秋史의 茶癖과 禪語활용의 審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48호 / 127 ~ 152페이지
    · 저자명 : 한용화

    초록

    본고는 秋史 金正喜의 茶癖을 이해하고, 추사의 편지와 茶詩에 활용된 禪語가 그의 심미경계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진행과정에서 추사가 茶緣들과 주고받은 편지와 茶詩의 내용을 살폈을 때 추사는 화두선에 상당한 일가견이 있었고 화두활용 또한 자유로웠음을 확인하였다. 그 예로 첫째는 추사의 편지 내용에는 차를 보내달라고 하면서 사용한 “趙州無字, 庭前栢樹, 馬祖喝, 德山棒” 등 화두를 인용한 선가적 어투를 확인하였고, 둘째는 詩의 내용에서 “허공, 산, 솔 소리, 솔숲, 흰 구름, 바람소리, 고요함” 등의 禪語를 사용하여 禪味를 담아냈다는 점이며 그에 연관된 화두경계로는 “國師三喚, 揚眉瞬目, 卽心卽佛, 平常心佛” 등에서 추사가 화두 활용에 능숙했고 그 활용된 화두는 茶禪적 審美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사의 그림 <함벽산수축> 화제의 내용인 ‘茶修止觀’도 다선의 심미로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제시한 근거들은 추사의 심미경계가 편지와 시, 화제를 통해서 선어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단한 다벽을 가졌던 추사는 차를 마시고 차를 구하는 일에도 절실함을 담아 편지를 썼고, 차를 받고 마실 때는 차를 키워준 우주자연, 다연들에게도 감사의 회향을 함께하였다. 이 또한 다선적 심미경계로 연관 지을 수 있다.
    본고는 추사의 다벽에 관한 단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茶가 추사 내면의 선적 심미경계와 무슨 연관성이 있는지, 다선과 선어 활용의 심미에 관하여 조명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dentifies the obsession with tea of Chusa Kim Jeong-hee,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among Zen Words used in Chusa’s letters and poetry about tea, and his esthetic boundaries.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Chusa was extremely knowledgeable in the Questions for Buddhist Meditation and freely used them, according to the letters to and from his edge of tea and the contents of poetry about tea. There were some examples for this. Firs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a tone of the Zen Family's that quote the Questions for Buddhist Meditation in his letters such as “趙州無字, 庭前栢樹, 馬祖喝, 德山棒” when he asked for tea. Second, Chusa conveyed Zen Taste by using Zen words such as “empty space, mountains, the sound of the pine trees, pine tree forest, white clouds, sound of the wind, silence” in his poetry. The boundaries of the Questions for Buddhist Meditation that are related include “國師三喚, 揚眉瞬目, 卽心卽佛, 平常心佛,” which showed that the quotes that he easily used are based on the aesthetic of Tea Zen. Lastly, tea practice of Zhiguan which is the topic of Chusa’s painting 'Hambyeoksansuchuk' can be interpreted as the aesthetics of Tea Zen. Such evidence shows that the esthetic boundaries of Chusa are revealed as the divine language through letters, poetry and words in paintings.
    Chusa had a great obsession for tea. He wrote desperate letters to drink and ask for tea, and he expressed his gratitude to the universe and nature that developed tea and the relationships that he made while drinking tea. This can also be linked to the esthetic boundaries related to Tea Zen.
    This study overcomes the simple perspective on Chusa’s obsessions for tea. Rather.
    The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tea with Chusa’s internal esthetic boundaries, and the correlations of Tea Zen and the use of the divine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