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니엘 벨의 탈산업사회이론 연구: 고용구조 변화의 추이와 서비스 부문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Daniel Bell’s Theory of Post-Industrial Society: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trend of transformation of employment structure and analysis on the service sector)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9.11
47P 미리보기
다니엘 벨의 탈산업사회이론 연구: 고용구조 변화의 추이와 서비스 부문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론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 이론 / 15호 / 79 ~ 125페이지
    · 저자명 : 김원동

    초록

    이 글은 다니엘 벨의 탈산업사회이론의 전체 윤곽과 핵심 논지를 비판적으로 이해해보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여기서는 고용구조의 변화 추이와 서비스 부문에 대한 벨의 분석에 초점을 맞춰 그의 탈산업사회이론에 담겨 있는 주장의 실체와 경험적 근거들을 점검해보고, 그 타당성과 한계를 짚어보면서 보완해야 할 점들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특히 그의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집중적인 검토의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주요 연구 결과를 간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벨은 클라크의 영향을 받아 서비스 부문의 성장에 주목한다. 하지만 클라크와는 달리 서비스 부문의 생산성과 서비스의 차별성을 분명하게 인식함으로써 서비스 부문의 성장으로 가시화되는 탈산업사회의 이론적 지평을 열었다. 그럼에도 서비스 부문의 내적 분화에 따른 지역 간, 국가 간 비교 분석 자료를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경험적으로 자신의 이론적 주장을 충분하게 뒷받침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고용구조의 변화 추이에 대한 벨의 분석과 그의 허점을 보강해주는 싱겔만의 분석은 1920년경부터 1970년경까지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에서 서비스 부문의 성장으로 대변되는 거시적인 탈산업적 사회 변화가 진행되었음을 입증해준다. 특히 캐나다는 미국과
    매우 흡사한 변화 유형을 보임으로써 벨의 기준대로라면 1960년대에 이미 탈산업사회로 진입한 국가로 간주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런 점에서 당시 탈산업사회의 전형으로 미국만을 지목한 벨의 주장은 수정, 보완이 요구된다. 셋째, 탈산업적 사회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는 정부, 교육, 의료, 보건 등과 같은 사회적 서비스 부문의 급속한 성장과 사회적 비중의 증대, 그리고 가사 서비스의 급감이다. 미국 이외의 주요 선진국에서도 이런 경향성은 경험적으로 확인된다. 벨의 분석에서는 그의 주장과는 달리 충분한 경험적 근거를 발견할 수 없지만 다행히 다른 연구자들의 분석에서 이를 보강해주는 근거들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벨은 일정 수준의 제조업의 발달을 전제로 한 서비스 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서비스 부문, 특히 공공서비스 부문의 생산성 향상이 탈산업사회에서의 중요한 쟁점이자 과제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런 지적은 그의 통찰력을 보여주는 대목이지만 벨이 이를 구체적인 분석 작업 수준으로 진전시키지는 못했다. 다섯째, 고용구조의 변화와 서비스 부문의 성장에 대한 벨의 분석은 현대사회의 탈산업사회적 변화 추이를 보여주면서도 서비스 부문 분류의 정교화 작업, 보완된 서비스 부문 분류 틀에 입각한 고용구조 변화의 재분석, 개별 서비스 부문의 성장과 쇠퇴가 갖는 이론적 함의의 천착 등과 같은 과제들을 남겨두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understanding an outline and core point of arguments in Daniel Bell’s theory of post-industrial society critically. The focus will be placed on his analyses on both trend of transformation of employment structure and service sector. In doing so, I’ll try to check entities, empirical bases, validity and limits of his theory of post-industrial society and suggest complementary comments. Especially,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will be main object of investigation in the process.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s follows: Firstly, Bell pays attention to growth of service sector under the influence of Colin Clark.. However, he was different from Clark in recognizing the productivity of service sector and differential characteristic of service, and could open new theoretical horizon of post-industrial society owing to his insights on these aspects. Nevertheless, his empirical data don’t sufficiently support his theoretical assertions, because he didn’t engage in intensive research about inner differentiation of service sector at both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Secondly, Singelmann’s analyses demonstrate a progress of macroscopic post-industrial social change which shows symbolically growth of service sector in major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from about 1920 to about 1970. In this respect, his study supplements a blind point in Bell’s analyses on trend of change of employment structure. In especial, the pattern of Canada was very similar to the U.S. case. In the light of Bell’s social typology, therefore, Canada in 1960s should be included in a type of post-industrial society. Bell’s assertion considering the U.S. as the only model of post-industrial society in 1960s needs to bo retouched in this regard. Thirdly, indicators which reveal post-industrial social change very well are rapid growth of social service sector such as government, education, medical, health, and speedy decrease of domestic service. Compared with the U.S. from 1920 to 1970, this tendency was confirmed in other advanced nations. But, I couldn’t sufficiently find related empirical data in Bell’s analyses in spite of his emphasis on this point. Fortunately, another scholars provide us with supplementary data about that. Fourthly, Bell emphasezes an importance of service economy assuming a certain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and looks out that rise of productivity in service sector, above all, public service sector is going to become one of decisive issues and tasks in post-industrial society. This kind of prospect evidently shows his insight, but he didn’t advance his argument up to the concrete level of analysis. Fifthly, even though Bell’s analyses on transformation of employment structure and growth of service sector reveal tendency of post-industrial change in modern society, many important tasks still remain to be solved. They are an elaboration in classification of service sector, re-analysis of transformation of employment structure on the basis of reformed framework of service sector, search for theoretical implications of growth and decline of individual service sector, and so 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 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