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감적 정의를 향하여 —일베 현상을 통한 롤즈의 정의론의 비판적 성찰과 대안으로서의 공감적 정의 (Toward Empathic Justice —Empathic Justice as an Alternative for John Rawls’ Theory of Justice in Reflection of Ilbe Phenomena in South Kore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6.01
29P 미리보기
공감적 정의를 향하여 —일베 현상을 통한 롤즈의 정의론의 비판적 성찰과 대안으로서의 공감적 정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99호 / 91 ~ 119페이지
    · 저자명 : 송용섭

    초록

    존 롤즈는 분배의 정의에 대한 사회 체제적, 제도적 원칙들을 세움으 로써 질서정연하고 합리적인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일반화된 정의 이론을 제시하려 하였다. 롤즈의 정의론에서 대표자들은 원초적 입장에서 공정성 을 위해 감정이 배제된 인간으로 가정된다. 원초적 입장에서 롤즈가 제거 해버린 감정에는 공감이 포함되는데, 본 논문은 공감능력을 제거시킨 대 표자를 가정하는 것이 타당한지 의문을 제기한다. 롤즈와 달리, 마틴 호프만은 오히려 정의에 있어서 공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호프만은 공정한 정의의 원칙들의 형성에 있어 공감의 능력을 상 호 보완적이며 원칙을 실천할 수 있게 하는 요소라고 이해한다. 본고는 정 의의 원칙을 설정하고 실천하려는 데 있어 공감의 중요성과 상호보완성을 인지하고 적용하려는 정의의 한 형태를 “공감적 정의”(Empathic Justice) 라 지칭하고자 한다. 한국의 일베(Ilbe) 유저들이 익명으로 참여하는 가상 인터넷 공간이 롤 즈의 원초적 입장과 형식적으로나마 비교적 유사한 가상 상황임에도 불구 하고, 일베 유저들은 롤즈가 도출하려 했던 공정한 정의의 원칙을 선택하 지 못한다. 그들이 공정한 정의를 현실화하려는 동기를 지니지 못하며, 비 주류에 해당하는 타인들에게 반사회적인 방식으로 대응하게 하는 가장 근 본 원인은 “공감의 부재”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의 일베 현상 은 롤즈의 정의의 원칙들이 현실에서 실천되기 위하여, 원초적 입장의 대 표자들에게서 공감을 배제시키지 말아야 할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롤즈 의 정의론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는 향후 정의론에 대한 논의가 “공감 적 정의”를 향하여 진행되어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oward Empathic Justice —Empathic Justice as an Alternative for John Rawls’ Theory of Justice in Reflection of Ilbe Phenomena in South Korea Yong Sup Song Assistant Professor Youngnam Theological University & Seminary Gyeongsan, Korea John Rawls attempted to suggest a universal theory of justice for social system by constructing rational principles in “original position.” In his theory of justice, the representatives in original position are supposed to be persons that their emotions such as empathy have been eliminated for fairness. This paper critically raises questions if his assumptions for the representatives without empathy are valid. Unlike Rawls, Martin Hoffman has emphasized the need for empathy in the ideas of justice. Hoffman understands empathy is a key element in the principle of justice that is mutually complementary and capable of realizing the principle. This paper calls a type of justice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and mutual complement of empathy as an “empathic justice.” While Korean “Ilbe” users participate in the cyper–space anony- mously that is similar to the “original position,” they do not make consensus for the principle of justice as fairness. They do not have intentions to realize the principle of justice and demonstrate anti– social attitudes especially towards minorities of Korean society, because they lack in empathy. The “Ilbe” phenomena imply that a theory of justice must not exclude empathy from the representatives in original position in order for it to be actualized in a real world. Therefore, in order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theory of justice by Rawls, this thesis argues that the discussions of the theory of justice in the future must be developed toward the empathic jus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독교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