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드와이따 베단따의 가상 담론: 기만에서 유희로 (Discourse on the Virtual in Advaita Vedānta: from Deception to Pla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4.08
30P 미리보기
아드와이따 베단따의 가상 담론: 기만에서 유희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41호 / 161 ~ 190페이지
    · 저자명 : 박효엽

    초록

    인도철학에서 아드와이따 베단따(이하 ‘베단따’로 부름) 학파는 환술(māyā), 무지(avidyā), 거짓(mithyā) 등 가상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을 통해 ‘실재라고도 비실재라고도 말할 수 없는’ 가상을 설정함으로써 가히 가상 담론의 챔피언이라고 불릴 만하다. 이 학파에서 세계에 가상성을 부여하는 것은 ‘세계의 실재성’을 부정하기 위해서일 뿐만 아니라 ‘세계의 비실재성’을 부정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베단따의 가상 담론은 기본적으로 기만의 담론이지만 그 가상은 기만의 담론을 넘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역할마저 수행한다. 실제로 해탈과 관련하여 실상인 브라흐만이 상징적인 역할을 하는데 비해 가상인 무지는 실질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베단따에서는 파기의 대상인 무지에 대해 아는 것 즉 가상성 알기를 통해 ‘가상에서 가상이 가상을 없앤다’는 논리로 나아갈 수 있다.
    베단따의 가상성 알기란 가치론적으로 말하자면 ‘의미화의 무의미화’이다. 이는 세계가 의미화한 것에 불과하다는 점을 아는 것과 그렇게 의미화한 세계가 무의미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아는 것으로 이루어진 과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베단따의 전통적인 방법인 ‘덧놓기와 걷어내기’(adhyāropa-apavāda)라는 것과 정확하게 대응한다. 결국 베단따의 가상성 알기는 인식의 차원에서 일어나는 의도적인 가상 유희이다. 이 유희는 가상의 현실을 재현함으로써 실상의 결과를 낳는 것으로서, 세계를 무대로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가장 경이로운 인간의 유희이다.

    영어초록

    In Indian Philosophy Advaita Vedānta school may well be called to be a Champion of ‘Discourse on the Virtual’, since this school establishes the virtual that is unexplicable either to be real or to be unreal by means of such various terms as māyā, avidyā, mithyā etc. What this school regards the world as virtual reality aims to deny not merely the reality of the world but the unreality of the world.
    Although discourse on the virtual in Vedānta is basically about deception, the virtual carries out a constructive and positive role which goes beyond that discourse. As a matter of fact, ignorance or the virtual plays a substantial role in relation to mokṣa, whereas Brahman or the real a symbolical role. Thus Vedānta school can advance towards such logical way, ‘the virtual remove the virtual in the virtual’, just by knowing ignorance that is the object of annihilation or by ‘knowing virtuality’.
    In Vedānta what is called ‘knowing virtuality’ indicates in its axiological dimension ‘making meaningless of making meaning’. It consists of two logical courses, namely, knowing the world as the result of making meaning, and knowing that meaningful world as a meaningless thing. Besides, these courses are exactly corresponded with the traditional Vedāntic methods, i.e., false attribution and retraction (adhyāropa-apavāda). Consequently, ‘knowing virtuality’ in Vedānta is an intentional ‘imaginary play’ occurred in the epistemic domain. This wonder play, what is causing the real result, is not of God but of human, represented in the stage of the world and applied to the world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