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건축허가 관련 절차와 법적 쟁점 검토 (Review of procedural and legal issues of building permi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7.02
25P 미리보기
건축허가 관련 절차와 법적 쟁점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77권 / 29 ~ 53페이지
    · 저자명 : 김재광

    초록

    건축의 자유를 헌법상의 기본권으로 인정할 수 있는 것인지, 그렇다면 그 헌법적 근거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대부분의 학자들이 헌법 제23조의 재산권 보장에서 찾고 있으나, 행복추구권과 재산권 보장에서 찾는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후자가 타당하다고 본다.
    건축법상 인허가절차는 다단계 행정절차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건축법상 건축허가와 건축신고와 관련한 법적 쟁점으로는 첫째는 건축법상 건축허가와 건축신고의 이원적 체계문제이다. 둘째는 건축법상 인허가의제문제이다. 셋째는 건축법상 건축허가의 법적 성질문제이다. 넷째는 건축법상 건축허가와 건축신고의 隣人보호문제이다.
    첫째, 건축법상 건축허가와 건축신고의 이원적 체계에 대해 본질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견해와 현행의 ‘허가 - 등록 - 수리를 요하는 신고 - 자기완결적 신고’로 구성된 규제체계의 개선을 통해 문제해결을 하자는 견해 등 다양한 해결방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현행 건축규제체계 전반에 걸쳐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검토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먼저 건축법의 이례적인 인허가의제의 반복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심층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인허가의제 효과를 수반하는 건축신고의 법적 성질에 대해서는 수리를 요하는 신고로 보는 견해가 타당하다. 판례도 수리를 요하는 신고로 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건축신고의 이중인허가의제(1단계 의제: 건축허가의제적 신고 + 2단계 의제: 인허가의제를 수반하는 건축신고)는 절차간소화라는 본래의 취지를 넘어서 허가의제 및 관계 법령의 인허가의제 등 강한 실체법적 효력을 부여하고 있는 것은 입법적으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건축법상 건축허가와 건축신고의 隣人보호 방안으로 먼저 사전적 분쟁해결수단으로 ① 환경영향평가를 통한 주민의견수렴절차의 활용가능성과 ② 건축허가 사전예고제의 활용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다음으로 인근주민의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청구권으로 사인에 대한 공법상 금지청구권과 건축행정청에 대한 행정개입청구권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건축허가와 관련한 인근주민의 법적 지위에 관한 논의는 전통적인 보호규범론에 따라 실정 관계법규의 목적·취지의 해석에 의하여 판단되어야 할 것이나, 인근주민의 권리구제에 비중을 두는 방향으로의 법해석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It is a question of whether the freedom of construction can be recognized as a fundamental right under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stitution) and which can be applicable provisions for constitutional bases. As the constitutional bases for it, most scholars contend right to property in Article 23 of the Constitution, but some scholars do right to pursuit happiness and right to property. It is considered that the latter is valid.
    The licensing(authorizations, permits and reports) process under the Building Act is characterized by multi-level administrative procedures. Legal issues related to building permits under the Building Act are as follows: first, the dual system of building permits and reports, secondly, the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s and permits, thirdly, the legal nature of building permits, fourthly, nearby-neighbors protection of building permits and reports.
    Firstly, several solutions have been suggested that they should solve the essential problems coming from dual system of build permits and reports under the Building Act and they can solve the problems to improve current regulatory system consisting of permits-registration-reports requiring acceptance-reports complemented by themselves, and to conclude, it has to review current regulatory systems of building systematically and totally.
    Secondly, the appropriation using repeatedly exceptional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permits needs to be reviewed in depth.
    Thirdly, there is theory that the legal nature of the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permits is considered to be the reports requiring acceptance, it is valid. The cases also recognized them as reports requiring acceptance. In addition, double authorization-permits legal fiction of 1st stage-legal fiction(fictive reports on the building permits) and 2nd stage-legal fiction(building permits with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permits) have deviated from its original purpose of procedural simplification and imposed the legal force of substantive law, such as permits-fiction and authorization-permits fiction of related acts. As a result, acts imposing the legal strong force should be reconsidered legislatively.
    Fourthly, the preliminary dispute settlement for neighborhood protection has suggested as follows: applicability of public comments process by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of preliminary notice about building permits As detail rights for neighborhood protection, the right to request ban against person in the public law and right to request administrative intervention to administrative agency have reviewed. The discussion on the legal status of nearby residents related to building permits should be based on translating purpose of existing related regulations according to traditional protective norms, and headed to protection of rights for nearby resi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