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校正廳本 『맹자언해』의 존대법 고찰 (A Study on the Honorific Way of Speech Applied to the Gyojeongcheon Version of 『Maengja Eonha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9.12
32P 미리보기
校正廳本 『맹자언해』의 존대법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61권 / 61호 / 35 ~ 66페이지
    · 저자명 : 유영옥

    초록

    선조조 교정청본 경서언해서는 성리학의 사회적 이념인 정통론에 입각하여 堯舜부터 孟子까지 儒家 道統 전수자들의 言行에 모두 존댓말을 사용하였다. 특히 孔子와 諸侯의 대화에서 공자에게는 존댓말을 쓰되 제후에게는 존대하지 않았고, 子思와 魯繆公의 대화에서도 子思에게만 존대하였다. 하지만 『맹자언해』는 맹자와 제후의 대화에서 맹자에게도 제후에게도 모두 존대하였다. 이는 孔子-曾子-子思-孟子로 이어지는 유가 도통의 계보 내에 일종의 층위가 존재하는 것이다.
    공자~맹자의 도통이 중시되면서, 교정청본 『논어언해』는 상대적으로 顔子를 소외시켜 그에게 존댓말을 쓰지 않았다. 하지만 교정청본 『맹자언해』는 1곳에서 안자에게 존댓말을 썼는데, 그 이유는 아마도 안자는 亞聖이요 맹자는 大賢으로 평가 받기 때문일 것이다. 즉 이는 맹자가 비록 도통의 전수자이지만 결코 안자보다 우위에 있지는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교정청은 맹자와 餘他人의 대화를 해석할 때, 여타인은 대부분 맹자에게 존대하고 맹자는 그들에게 말을 낮추는 형태로 언해하였다. 그러나 오직 告子와 맹자, 陳相과 맹자의 대화에서는 상호 존대하지 않는 어법으로 언해하였다. 이는 告子 및 陳相을 이단으로 규정하여 배척하는 ‘闢異端’의 뜻을 명확히 표출한 것이다.

    영어초록

    The Gyojeongcheong version of Saseo Eohae was compiled and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in the country. Standing itself on the legitimate doctrines of the Sung-Confucianism, that version uses the honorific way of speech in expressing all words spoken by successors of the very Confucian ideas of enlightenment, that is, dotongron. In depicting dialogues between Kong-zi and feudal lords, especially, the Gyojeongcheon version provides words spoken by the latter to the former in the form of honorific speech, but doesn’t employ the same form in delivering words spoken by the former to the latter. Regarding dialogues between Lu- Mougong and Zi-si, similarly, honorific expression is restricted to words spoken by the former to the latter. In contrast, 『Maengja Eonhae』 contains in an honorific way all words with which Meng-zi and feudal lords talk to each other.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genealogy of the above mentioned successors from Kong-zi, Zeng-zi and Zi-si to Meng-zi is in nature hierarchical.
    Despite 『Noneo Eonhae』 doesn’t apply honorific linguistics to the expression of words spoken to Yan-zi because he was not considered belonging to the successors, however, 『Maengja Eonhae』 depicts in an honorific way words that are spoken to Yan-zi in a particular dialogue. This is because although he was one of the successors of dotongron, Meng-zi was never recognized to be superior to Yan-zi.
    Meanwhile, the Gyojeongcheong version annotated dialogues between Meng-zi and others in a way that words spoken by the latter to the former are mostly written in the form of honorific speech, but those spoken by the latter to the former in plain terms. Only one exception is that dialogues between Gao-zi and Meng-zi or between Chen-xiang and Meng-zi were in any case annotated into non-honorific talks between the two figures. This suggests that the version was made clearly in favor of the rejection of heresy as it defined both Gao-zi and Chen-xiang as heret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