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휴 선수의 사상과 그의 법통관 (The Thought of Buhyu-Seonsu and His Viewpoint of Religious Tradition)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9.04
48P 미리보기
부휴 선수의 사상과 그의 법통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22호 / 191 ~ 238페이지
    · 저자명 : 김방룡

    초록

    본고는 조선 중기 청허 휴정과 더불어 조선선을 크게 중흥시킨 부휴 선수의 사상과 그의 법통관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부휴의 생애에서 중요한 점은 소재 노수신과 사명 유정 등과의 교유이다. 특히 이들의 만남은 한시(漢詩)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졌으며, 당시 영의정까지 지낸 노수신 및 임진왜란 당시 의승군을 지도했던 사명 유정과의 격의 없고 긴밀한 교류는 유학자와 선승(禪僧) 간의 교유의 모범적인 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부휴의 사상은 부용 영관의 선사상을 계승하고, 한시를 통하여 도(道)의 세계를 노래하는가 하면, 유ㆍ불 간의 조화를 꾀하고, 임진왜란을 당하여 구국(救國)과 자비(慈悲)의 사상을 주장하였다.
    부휴는 부용 영관의 선사상을 계승하였지만 그 스스로 법통관을 정립한 것은 아니다. 부휴와 그의 제자 각성에 의하여 계파 성립의 기반을 구축한 부휴의 문도들은 백암 성총 대에 이르게 되면 계파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부휴계는 서산계와 경쟁하면서 조선후기 불교계를 주도하게 된다. 이들은 송광사를 중심으로 보조의 유풍을 계승하게 되며, 다른 한 편 부휴를 중심으로 한 법통설을 강조하게 된다. 다만 법통설에 있어서는 서산계와 같이 ‘임제-태고 법통설’을 주장하고 있으며, 서산이 아닌 부휴를 정맥으로 주장하고 있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I dealt with the thought of Buhyu-Seonsu and his viewpoint of the religious tradition in this paper. Buhyu, a Buddhist priest, revived considerably Joseon-Seon with Cheongheo-Hyujeong, a Buddhist priest,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The important point of Buhyu's life is a companionship with Sojae-Nosusin and Samyeong-Yujeong. Their companionship was formed through the medium of Chinese poetry. Nosusin had filled successively the chief minister of Joseon Dynasty. And Samyeong had leaded the righteous priest army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ir unreserved and close interchange showed a typical companionship with Seon masters and Confucianists.
    Buyhu succeeded to the thought of Buyong- Yeongkwan and composed the world of the truth through the Chinese poetry. He sought the harmon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he insisted on the thought of salvation of his country and the mercy.
    He succeeded to Buyong's thought but didn't make his own viewpoint of religious tradition. Establishing the lineage by Buhyu and his follower, Gakseong, the disciples of Buhyu built up the identity as the lineage after Baekam-Seongchong.
    Competing with Seosan's line, Buhyu's line played a leading role for the world of Buddhism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Centering around Songkwang temple, they succeeded to the custom of Bojo. On the other hand, they emphasized the view of the religious tradition centering around Buhyu. They just insisted 'the view of religious tradition of Taego after Imjae' like Seosan line. But they clarified their view that they claimed the orthodoxy of Buhyu not Seos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전